연평균 7조 6000억원씩 증가하던 금융부채를 지난해 처음으로 7조 2000억원 줄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기업 정상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부채 중점관리 기관으로 낙인찍혔던 지난해 2월 이후 책임경영 체제의 일환으로 판매목표관리제를 시행하고 사업방식 다각화로 민간 자본을 적극 유치한 결과다. LH는 지난해 무디스, S&P, 피치 등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모두 신용등급을 상향 평가받는 성적을 올렸다.
이미지 확대
이재영(앞줄 왼쪽 두번째)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이 지난해 5월 서울 강남아파트 시공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재영(앞줄 왼쪽 두번째)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이 지난해 5월 서울 강남아파트 시공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 제공
이재영 LH 사장은 “올해를 사업혁신 정착, 경영체질 개선을 통해 100년 기업의 기틀을 다지는 해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오는 4월 본사의 경남 진주 이전을 앞두고 조직 통폐합을 실시해 효율성 있는 작은 본사로 조직을 개편했다. 이 사장은 지난달 30일 1박 2일 간부 워크숍을 연 데 이어 지난 2일 광주전남지역본부를 시작으로 전국 24개 현장 방문 밀착경영을 진행하고 있다.
LH는 경기 활성화를 위해 17조 2000억원의 사업비를 꾸렸다. 신규사업비의 30%는 사업방식 다각화 확대 등을 통해 민간 자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미분양 주택은 비인기 지역 집중관리, 공급일정 관리, 민간 판매 방식을 도입해 판매를 촉진시키기로 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2-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