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한국산 김에 대한 수입 할당량을 늘려 앞으로 일본에 수출할 수 있는 김 물량이 대폭 늘어난다.
해양수산부는 9일 일본 수산청과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합의각서에 서명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10년간 일본의 한국산 김 수입할당물량은 올해 12억장에서 매년 1억5천만장씩 늘어 2025년에는 27억장이 된다.
이번에 합의한 김 27억장은 금액으로는 약 1억2천달러 상당으로 올해 우리나라의 전 세계 김 수출액인 3억달러의 40%에 이르는 규모다.
또 품목비율 조정으로 내년부터 가격 경쟁력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마른김에 전체 수입할당물량의 50% 이상이 배정됐다.
그동안 한국에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한 일본의 비정기적 수입 상담회 개최, 늦은 물량 공고, 품목별 물량 결정 지연 등 운영방식도 개선하기로 했다.
연영진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최근 엔저와 경기부진 등으로 최대 수산물 수출 상대국인 일본으로의 수출이 감소했으나 이번 협의를 계기로 앞으로 10년간 수산물의 일본 수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해양수산부는 9일 일본 수산청과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합의각서에 서명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10년간 일본의 한국산 김 수입할당물량은 올해 12억장에서 매년 1억5천만장씩 늘어 2025년에는 27억장이 된다.
이번에 합의한 김 27억장은 금액으로는 약 1억2천달러 상당으로 올해 우리나라의 전 세계 김 수출액인 3억달러의 40%에 이르는 규모다.
또 품목비율 조정으로 내년부터 가격 경쟁력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마른김에 전체 수입할당물량의 50% 이상이 배정됐다.
그동안 한국에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한 일본의 비정기적 수입 상담회 개최, 늦은 물량 공고, 품목별 물량 결정 지연 등 운영방식도 개선하기로 했다.
연영진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최근 엔저와 경기부진 등으로 최대 수산물 수출 상대국인 일본으로의 수출이 감소했으나 이번 협의를 계기로 앞으로 10년간 수산물의 일본 수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