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문화가 보수적인 금융권에서도 최근 엄격한 위계문화를 탈피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직원 간 호칭을 단순화하고 복장 자율화나 유연근무제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일반 기업체에서는 많이 이뤄지는 시도이지만 금융권은 이제 막 확산되는 단계다.
신한카드는 디지털·글로벌 전담조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부문을 대상으로 ‘스타트업형 조직문화 혁신방안’을 도입한다고 5일 밝혔다. DT 부문은 새로운 데이터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직원 280명 규모로 올해 새롭게 신설됐다. 가장 먼저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부장 등 직급 체제를 없애고 호칭을 단순화했다. 사원과 대리는 ‘프로‘, 과장부터 부부장까지는 ‘매니저’로 부른다. 앞서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모든 직원의 직급을 없애고 대표부터 사원까지 영어 별칭을 도입한 데 이어 기존 금융권에서 직급 체제를 없앤 것은 처음이다.
신한카드는 근무 일정과 복장도 자율화했다. 일률적인 점심시간을 폐지하고 본인이 정한 1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게 한 것이다. 업무나 일정에 맞게 복장도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유연근무제는 신한은행이 한발 앞서 도입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현대카드 역시 지난해 고정화된 점심시간을 자율에 맡기고 개인의 취향을 담은 캐주얼 복장도 허용하기 시작했다.
보험사 중에서는 삼성화재와 삼성생명이 5단계 직급(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을 4단계(사원-선임-책임-수석)로 단순화하고 있다. 삼성화재가 2009년 처음 도입한 이후 삼성생명도 지난해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호칭에서 오는 승진 압박과 위화감을 없애고 업무와 역할 중심으로 부르자는 차원이다.
반면 은행이나 금융 당국은 여전히 보수적인 직급 체계를 선호하는 편이다. 최근 들어 금요일에는 비즈니스 캐주얼도 허용하고 있지만 복장 규정은 여전히 엄격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을 직접 상대해야 하는 은행 업무 특성상 직원 개인보다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맞출 수밖에 없다”면서 “유연근무제 등 제도상 변화는 확대되고 있지만 복장이나 호칭 등 대외적으로 드러나는 문화는 바꾸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2-0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