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금융자산 증가율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저금리로 ‘쥐꼬리 이자’가 붙는 저축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금융자산은 9784만원으로 1년 전보다 1.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금융자산 증가율은 2013년 8.4%, 2014년 2.1%, 2015년 3.1%, 2016년 3.8% 등이었다.
금융자산은 예금, 적금, 펀드, 주식, 채권 등 저축액과 전·월세 보증금으로 구성된다. 금융자산 중 저축액은 평균 7283만원으로 전년 대비율은 1.3%에 불과했다. 이는 역대 최저이자 금융자산 증가율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월세 보증금은 1년 전보다 2.0% 늘어난 2501만원이다.
가구는 저축을 줄이는 대신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내 집 장만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주택 거래량은 총 105만 3000건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금융자산은 9784만원으로 1년 전보다 1.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금융자산 증가율은 2013년 8.4%, 2014년 2.1%, 2015년 3.1%, 2016년 3.8% 등이었다.
금융자산은 예금, 적금, 펀드, 주식, 채권 등 저축액과 전·월세 보증금으로 구성된다. 금융자산 중 저축액은 평균 7283만원으로 전년 대비율은 1.3%에 불과했다. 이는 역대 최저이자 금융자산 증가율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월세 보증금은 1년 전보다 2.0% 늘어난 2501만원이다.
가구는 저축을 줄이는 대신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내 집 장만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주택 거래량은 총 105만 3000건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12-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