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양산, 2027년까지 연산 5만톤 규모로 확대
신학철 “미래 소재 혁신…고객 페인포인트 해결 열쇠”
![차세대 배터리용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의 양산을 시작한 LG화학 청주공장. LG화학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26/SSC_20230626083517_O2.jpg)
![차세대 배터리용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의 양산을 시작한 LG화학 청주공장. LG화학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26/SSC_20230626083517.jpg)
차세대 배터리용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의 양산을 시작한 LG화학 청주공장. LG화학 제공
단입자 양극재란 니켈·코발트·망간 등 여러 금속을 하나의 입자형상으로 만든 소재로, 수명과 용량이라는 차세대 전지의 핵심 과제를 해결할 열쇠로 꼽힌다. 국내에서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를 양산하는 것은 LG화학이 처음이다.
기존 양극재는 금속 입자들을 작게 뭉쳐 만든 다입자(다결정) 구조였다. 충전과 방전이 반복될수록 소재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데, 틈에서 가스가 발생하며 전지 수명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단입자 양극재는 기존 양극재 보다 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배터리의 용량도 10% 이상 늘어난다. 예를 들어 기존 양극재로 만든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가 한번 충전에 500㎞를 간다면, 같은 크기의 단입자 양극재 배터리로는 550㎞ 이상 주행할 수 있다.
LG화학은 초기 양산에서는 단입자 양극재와 기존 양극재를 2대 8의 비율로 혼합, 생산한 뒤 순차적으로 단입자만 100% 들어간 양극재로 바꿔나갈 계획이다. 적용 제품도 파우치형을 비롯해 4680원통형 배터리(지름 46㎜, 길이 80㎜)등에 확대 적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는 미래 배터리 소재 시장의 판도를 바꿀 혁신이자, 고객들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할 열쇠”라며 “전지 소재 기술력과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장을 이끌며 글로벌 최대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