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분기 기준 최대 실적 달성…은행 ‘1호’ 벨류업 공시도

우리금융, 분기 기준 최대 실적 달성…은행 ‘1호’ 벨류업 공시도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4-07-25 18:34
수정 2024-07-25 18: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우리은행 자료 사진. 연합뉴스
우리은행 자료 사진. 연합뉴스
우리금융지주가 올해 2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우리금융지주는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 증가한 931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조 7554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4% 증가했다.

비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이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올해 상반기 수수료이익은 1조 58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8420억원에 비해 25.6% 불었다. 같은 기간 비이자이익은 8850억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45% 급증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은행 기업금융과 글로벌 IB(투자은행) 사업 확대, 그리고 카드사와 캐피탈사 등 자회사의 적극적 영업이 비이자이익 상승세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위험을 미리 담보하는 대손비용도 줄었다. 올해 상반기 대손비용은 7757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5% 감소한 수치다. 우리금융은 부동산PF 관련 충당금 800억원을 올해 2분기에 우리종합금융, 저축은행, 자산신탁 등 각 계열사에 나눠 적립했다.

핵심 계열사인 우리은행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1조 6735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1조 4720억원) 대비 13.7% 늘었다. 특히 대기업 대출이 지난해 상반기 39조 841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57조 7400억원으로 44.9% 급증했다.

우리금융은 이날 은행지주회사 최초로 첫 밸류업 계획을 공시했다. 중장기 밸류업 목표를 ‘보통주자본비율 기반 주주환원 역량 제고’로 설정, ▲지속가능 ROE 10% ▲보통주자본비율 13% ▲총주주환원율 50% 등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주주환원율은 배당과 자사주 매입액의 합을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연간 벌어들인 돈 중 주주에게 얼마나 나누는지 보여 주는 지표로 밸류업의 핵심으로 불린다. 총주주환원율은 보통주자본비율 12.5%~13.0% 구간에서는 40%까지, 13.0% 초과 시에는 5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보통주자본비율은 은행의 총 자본에서 보통주로 조달되는 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보통주자본비율이 금융당국에서 정한 한도를 넘겨야 주주환원이 가능하다. 우리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 12.5%를 2025년까지 조기 달성해 주주환원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이날 열린 컨퍼런스 콜에서 “환율이 현재보다 떨어져 과거 2019~2021년도 수준까지 간다면 13%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