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상용화 시대] 점유율 3% 친환경차, 2020년 8%까지 확대 전망

[친환경차 상용화 시대] 점유율 3% 친환경차, 2020년 8%까지 확대 전망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5-12-08 23:18
수정 2015-12-08 23: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요타·포르셰 등 기술 개발 앞장

2015년 친환경 자동차(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도 안 된다. 이 중 전기차나 수소연료전지차의 경우 전체 친환경차 시장에서도 10% 안팎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친환경차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동차 시장의 미래가 친환경차에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독일의 스포츠카 제조업체 포르셰는 8일 순수 전기차 모델을 10년 내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르셰는 이를 위해 1000명 이상을 새로 채용하고 도장공장 및 조립라인 신규 건립 등 총 7억 유로(약 1조 28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포르셰가 전기차 시장에 합류할 경우 현재 고성능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는 미국의 테슬라와 경쟁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은 지난 9월 독일 폭스바겐그룹의 디젤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조작 사건으로 더 높아진 상황이다.

지난해 말 현대·기아차는 2020년까지 친환경차 모델을 22종으로 확대하겠다는 ‘2020 연비 향상 로드맵’을 발표했다. 세계 1위 완성차 업체인 일본의 도요타는 2050년까지 내연기관 차량 ‘0’을 목표로 친환경차 비중을 늘린다고 발표했고 미국의 GM도 일본 혼다와 함께 2020년까지 수소연료전지차를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폭스바겐그룹도 배기가스 배출 조작 사건 이후 디젤차량에 집중됐던 연구·개발(R&D) 역량을 전기차로 이동하겠다고 발표했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완성차 시장에서 현재 3% 수준인 친환경차 비중은 2020년까지 8% 가까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미래 자동차 시장을 누가 선점하느냐는 결국 친환경차 기술력에서 판가름 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12-0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