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우리銀만 대우조선 ‘정상 등급’ 고집하는 까닭은

[경제 블로그] 우리銀만 대우조선 ‘정상 등급’ 고집하는 까닭은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7-01 22:34
수정 2016-07-01 23: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월의 마지막 날인 30일 KEB하나은행마저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여신 등급을 ‘정상’에서 떼일 확률이 있는 ‘요주의’로 내렸습니다. 이로써 우리은행을 뺀 시중은행들은 모두 대우조선 여신 등급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대우조선 등급을 아직 내리지 않은 곳은 국책은행(산업은행·수출입은행)과 우리은행뿐입니다. 국책은행이야 그렇다 치고 시중은행인 우리은행은 왜 대우조선 채권 등급을 ‘정상’으로 고집하는 걸까요. 민영화를 추진하는 우리은행 입장에서는 위험 부담을 빨리 털고 대외적인 투자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더 이득일 텐데 말이죠.

돈 문제는 아니라고 우리은행은 극구 주장합니다. 우리은행의 대우조선 여신 규모는 4800억원가량입니다. 이미 충당금(떼일 것에 대비해 쌓아두는 돈)을 5.7%가량 쌓았고, 추가로 넣어야 할 돈도 200여억원에 불과하다네요. 금융권 관계자도 “우리은행의 하반기 순이익 추정치가 3500억원가량인 만큼 충당금은 큰 변수가 아닐 것”이라고 말합니다.

우리은행은 ‘국익’을 이유로 듭니다. “우리 살자고 발을 빼는 것보다 국가경제 운용방향을 돕는 게 먼저”라는 겁니다. 산은과 수은이 “조선업과 국가경제에 미칠 악영향 때문에 일단 정상 등급을 유지하겠다”고 말하는 것과 같은 논리이지요.

하지만 고개를 갸웃거리는 이들도 적지 않습니다. 해외 선주나 투자자는 이미 선박건조 발주나 주식·채권 투자 때 대우조선의 신용도를 낮춰서 반영하고 있고 여신 등급 조정이 수주산업에 그렇게 큰 여파를 미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역시나 ‘민영화’가 최대 화두인 우리은행이 정부 눈치 보느라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우리은행의 정부 지분(51.04%)은 절반이 넘습니다.

우리은행 측은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는 마당에 정부 입김 운운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펄쩍 뜁니다. 이유가 무엇이든 대우조선의 부실과 비리가 커져갈수록 떨어지는 투자자나 국민들의 신뢰도 고려해야 할 것 같네요.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7-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