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전재료 폐지… “플랫폼 역할 집중”
구독 기반 수익 배분… 중간 광고 도입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13/SSI_2019111305361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13/SSI_20191113053616.jpg)
네이버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2019 미디어 커넥트 데이’를 열고 네이버 뉴스 서비스 운영 방향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네이버 뉴스가 언론사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본연의 모습으로 변화했고 언론사 구독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며 “네이버 뉴스에서 발생하는 광고 수익을 전액 제공하는 모델로 수익 배분 방식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지금까지 각 언론사 뉴스를 네이버 포털에 싣는 대가로 전재료라는 비용을 지불해 왔으며 모바일 네이버의 ‘언론사 홈’ 및 ‘기사 본문’ 영역에 대한 광고 수익을 줬다.
그러나 내년 4월부터는 ‘언론사 편집’ 뉴스 영역과 ‘MY 뉴스’에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광고 수익도 언론사에 제공하기로 했다. ‘기사 본문 중간광고’ 등 새로 도입할 광고도 포함된다. 이 중 ‘언론사 홈’과 ‘기사 중간 광고’, ‘기사 하단 광고’는 단가 책정이나 판매 등 영업권을 언론사가 직접 갖는다. ‘언론사 편집’과 ‘MY 뉴스’ 영역의 광고 수익은 구독자 수와 충성도를 반영한 광고 수익 배분 공식에 따라 각 언론사에 배분된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역할은 궁극적으로 언론사와 이용자가 잘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언론사와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 갈 수 있도록 기술적인 도구와 데이터를 제공하는 파트너이자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11-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