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411_O2.jpg)
쉐코 제공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411.jpg)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
쉐코 제공
해상 기름유출 사고는 우리나라 바다에서만 연간 280여건쯤 발생한다. 흔히 2007년 태안반도 기름유출 사고만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주말 빼고는 매일 일어난다’고 할 만큼 빈번하게 벌어진다는 의미다. 바다에 유출된 기름을 처리하는 건 오롯이 사람의 몫이다. 높은 비용은 둘째치고 매우 노동집약적이며, 효율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처리된다. 제대로 제거하지 않았을 때 해양 생태계는 물론 인간에게 미치는 경제적, 문화적 손실은 측정할 수 없을 만큼 어마어마하다.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633_O2.jpg)
쉐코 제공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633.jpg)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
쉐코 제공
“국내에서는 비슷한 사업을 하는 곳이 없어요. 따라갈 만한 모델이 없다는 뜻이죠.”
해상 기름유출 사고 관련 시장은 생각보다 규모가 크다. 흔히 예방을 의미하는 ‘프리’ 시장과 사후 대응을 뜻하는 ‘포스트’ 시장으로 나뉜다. 프리 시장은 세계적으로 100조원이 넘는 규모다. 포스트 시장도 상당히 커 약 40조원 정도. 권 대표는 “여기서 서비스를 제외하고 사고 대응에 필요한 제품 시장은 약 15조원 정도”라면서 “이 시장을 우리가 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창업 이후 투자자를 찾는 게 힘들었어요. 아직 학생이었으니까, 대기업 임원들이 잘 만나주지 않았죠. 몰래 세미나에 잠입해 사업을 설명하고 임원들 명함을 거의 뺏어오다시피 한 적도 있었습니다.”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920_O2.jpg)
쉐코 제공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920.jpg)
해양정화 로봇 쉐코
쉐코 제공
쉐코 제공
“처음에는 교수님들이 말렸어요. ‘민간이 하기에는 사업성이 너무 낮다’는 이유였죠.”
숱한 반대에도 권 대표가 의지를 꺾지 않은 건 네덜란드의 해양정화 스타트업 ‘오션클린업’을 이끄는 보얀 슬랫(27) 덕분이다. 태평양에 무수히 떠 있는 해양 플라스틱을 해결하겠다는 당찬 포부를 밝힌 그의 테드(TED) 강연을 본 그는 “당시 17살밖에 되지 않은 소년의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모두가 진지하게 듣고 있었다”면서 “심지어 400억원의 펀딩까지 성공하는 것을 보고 너무 부러웠다”고 말했다. 권 대표는 이후 자신의 방향이 틀리지 않았음을 확신하고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힘을 얻었다.
![권기성 쉐코 대표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858_O2.jpg)
쉐코 제공
![권기성 쉐코 대표 쉐코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3/SSI_20211203190858.jpg)
권기성 쉐코 대표
쉐코 제공
쉐코 제공
쉐코를 종합 해양정화 모듈로 발전시키는 게 권 대표의 목표다. 지금은 유출된 기름만 처리하지만, 앞으로는 로봇의 앞부분을 바꿔서 산업현장의 오염물, 골프장에 생기는 녹조, 바다 위 해양 쓰레기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겠다는 뜻이다. 아직 기술적 한계가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자율주행 기능까지 탑재한다는 계획이다. 아직은 사람이 리모콘으로 조종해야 한다.
“아직까지 매출은 없어요. 내년부터 양산품을 만들 거예요. 목표 매출액은 19억원 정도입니다. 흑자전환(BP)은 2023년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 지난해 말부터 법이 개정돼 산업현장의 오염물이 바다로 나가면 전체 매출액에서 최대 5%의 과징금 부과됩니다. 앞으로 쉐코가 활약할 시장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