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명태/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명태/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12-13 23:12
수정 2017-12-14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시인이/밤늦게 시를 쓰다가 쇠주를 마실 때/그의 안주가 되어도 좋다/그의 시가 되어도 좋다/짜악 짝 찢어져 내 몸은 없어질지라도/내 이름만은 남아 있으리라/명태, 명태라고…”(양명문, ‘명태’)

노래가 된 시처럼 명태는 곳곳에 이름을 새겼다. 세상 어느 물고기보다 많은 이름을 퍼뜨렸다. 이름은 또 다른 이름을 낳았고, 삶터는 그에 맞게 새로운 별명을 갖게 했다. 시 속 외침처럼 명태로만 남기는 어려워졌다. 검푸른 바다 밑에 있을 때는 ‘명태’였지만, 바다 밖으로 나오는 순간부터 다른 이름들로 불려 왔다.

갓 잡아 싱싱한 ‘선태’, 얼리거나 말리지 않은 ‘생태’, 얼린 ‘동태’, 반건조한 ‘코다리’, 말린 ‘북어’, 얼부풀어 더덕처럼 마른 ‘황태’, 너무 추워 하얗게 된 ‘백태’, 겨울 날씨가 따뜻해서 검게 된 ‘먹태’ 혹은 ‘찐태’, 얼지 않고 말라 버리는 바람에 딱딱해진 ‘깡태’, 소금에 절여 말린 ‘짝태’, 알을 낳은 뒤 잡힌 ‘꺽태’, 알을 밴 상태에서 잡힌 ‘난태’, 낚시로 잡은 ‘낚시태’, 그물로 잡은 ‘망태’, 봄에 잡은 ‘춘태’, 가을에 잡은 ‘추태’, 겨울에 잡은 ‘동태’, 늦봄 마지막에 잡은 ‘막물태’, 함경도 연안에서 잡힌 작은 ‘왜태’, 새끼 명태 ‘노가리’….

이름은 대상이나 현상을 이해하는 도구가 된다. 올바른 이름은 가치를 왜곡하지 않는다. 어울리는 이름은 사실을 투명하고 소박하게 한다. 명태의 이름이 많아진 이유가 아닐까.

wlee@seoul.co.kr
2017-12-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