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대만 대표가 자사 인공지능(AI) ‘알파고’(AlphaGo)와 세계 최강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 9단간의 바둑 대결을 앞두고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대체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 데 대해 현실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젠리펑(簡立峰) 구글 대만 총경리(최고경영자)는 8일 “향후 알파고가 더 똑똑한 인공 지능 시스템이 될 것이 분명하다”며 “일부에서는 미래에 인간과 인공지능 간 관계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고 수위시대(數位時代)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그러나 젠 총경리는 “인공지능과 인류 간 관계를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기계는 사람이 가진 많은 직관적 이해 능력과 상상력을 대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은 여전히 인류를 돕는 역할을 맡고 있다”며 “통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은 요원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공지능이 기계학습 방식을 통해 일부 영역에서 사람을 이기더라도 다른 영역에서도 이러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승패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알파고가 이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설사 이기더라도 인공지능이 바둑 외에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모두 인간을 앞서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한편, 젠 총경리는 “기계학습은 현재 구글 검색과 유튜브, 구글 번역, 구글 앨범, 지메일 등 대부분 구글 서비스에 적용되는 등 구글의 핵심 기술이 됐다”며 “대만 산업에도 새로운 발전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대만의 산업과 인터넷 서비스업 규모가 비교적 작아서 데이터가 부족하다”며 “데이터가 적더라도 기계학습을 통해 기업의 고객관계관리(CRM)를 최적화하는 등 인터넷 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젠리펑(簡立峰) 구글 대만 총경리(최고경영자)는 8일 “향후 알파고가 더 똑똑한 인공 지능 시스템이 될 것이 분명하다”며 “일부에서는 미래에 인간과 인공지능 간 관계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고 수위시대(數位時代)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그러나 젠 총경리는 “인공지능과 인류 간 관계를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기계는 사람이 가진 많은 직관적 이해 능력과 상상력을 대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은 여전히 인류를 돕는 역할을 맡고 있다”며 “통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은 요원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공지능이 기계학습 방식을 통해 일부 영역에서 사람을 이기더라도 다른 영역에서도 이러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승패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알파고가 이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설사 이기더라도 인공지능이 바둑 외에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모두 인간을 앞서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한편, 젠 총경리는 “기계학습은 현재 구글 검색과 유튜브, 구글 번역, 구글 앨범, 지메일 등 대부분 구글 서비스에 적용되는 등 구글의 핵심 기술이 됐다”며 “대만 산업에도 새로운 발전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대만의 산업과 인터넷 서비스업 규모가 비교적 작아서 데이터가 부족하다”며 “데이터가 적더라도 기계학습을 통해 기업의 고객관계관리(CRM)를 최적화하는 등 인터넷 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