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 전 잔다르크 반지 공개”…진품 맞나? 논란 여전

“600년 전 잔다르크 반지 공개”…진품 맞나? 논란 여전

입력 2016-03-21 10:03
수정 2016-03-21 1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랑스의 전쟁 영웅이자 성인인 잔 다르크(1412∼1431)의 것으로 추정되는 반지가 20일(현지시간) 공개됐다.

프랑스 중서부 방데 주에 있는 퓌뒤푸역사테마공원은 지난달 런던에서 열린 경매를 통해 37만6천833유로(약 5억원)에 이 반지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공개 첫날인 이날에만 약 5천 명의 관람객이 반지를 보기 위해 몰려들었다.

옥스퍼드 연구소에 따르면 이 반지는 잔 다르크가 활동한 15세기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진짜 잔 다르크의 것인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반지에는 세 개의 십자가와 함께 ‘예수-마리아’를 뜻하는 ‘JHS-MAR’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는 1431년 재판 기록과 일치한다. 당시 잔 다르크는 법정에서 이 반지를 부모에게서 받았다고 말했다.

잔 다르크는 백년전쟁 당시 프랑스를 점령한 잉글랜드에 맞서 프랑스의 승리를 이끌었지만, 전투 과정에서 부르고뉴군에 붙잡힌 뒤 잉글랜드로 넘겨져 화형당했다. 이후 잔 다르크는 프랑스 저항의 상징이 되었으며,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됐다.

반지는 잔 다르크가 부르고뉴에서 사로잡혔을 때 빼앗겨 잉글랜드 윈체스터 주교의 손에 들어간 이후 영국에 남아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잔 다르크의 반지가 프랑스로 돌아왔다는 주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잔 다르크가 해방한 도시 오를레앙에 있는 잔 다르크 기록보관소의 올리비에 부지 소장은 1950년대에도 한 프랑스계 영국인 의사가 반지를 프랑스로 가져왔다고 주장했지만, 당시에도 전문가들은 신빙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했다고 전했다.

반지뿐 아니라 잔 다르크의 갈비뼈가 그가 처형된 말뚝에서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왔다가 이집트 미라의 파편으로 밝혀진 적도 있었다.

잔 다르크가 처형된 곳인 루앙에 있는 잔 다르크 박물관은 이런 가짜 소동을 우려해 지난달 열린 경매에 참여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