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따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군사력을 배치하는 것에 대해 미국인은 물론, 한국인과 일본인은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인은 감축을 선호했다.
미 시카고 카운슬 국제문제협의회(CCGA)가 19일(현지시간) 발표한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4개국 국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 64%와 한국인 61%, 일본인 53%는 아·태 지역에서 미군 전력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 지역에서 미군 증강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한국인 14%, 미국인 11%, 일본인 9%에 그쳤다. 미국인 22%와 중국인 58%는 미군 전력이 지금보다 줄어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또 미국인 49%는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절반에 가까운 응답이지만 지난해 조사 때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60%)보다 11%포인트 내려간 것으로, 아시아 정책의 호응이 줄어들었음을 보여준다.
만약 남북 통일이 이뤄진다면 그 뒤에도 미군이 한국에 주둔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한국인 49%와 미국인 32%가 지지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에 비해 한국인 44%와 미국인 44%는 남북 통일 이후에는 미군이 한국을 떠나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같은 의견을 보인 중국인은 66%로, 주한미군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미국인은 한국보다 일본을 선호하고 있음도 드러났다. 미국인 78%는 일본을, 66%는 한국을 믿을 만한 파트너라고 답했다. 미국인 58%는 일본이 국제문제를 책임감 있게 다룰 수 있다고 답한 반면 36%만 한국이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4~9월 한국인 1010명, 미국인 2034명, 중국인 3142명, 일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