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9/16/SSI_2018091606005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9/16/SSI_20180916060056.jpg)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팀 쿡도 새벽 3시 45분에 일어나며 디즈니 회장인 밥 이거도 새벽 4시 25분 운동을 한다고 밝혔다. 둘의 ‘얼리 버드’ 성향은 미국프로농구(NBA) 선수들로 하여금 아침 일찍 체육관으로 발길을 옮기게 만들었다고 영국 BBC는 14일(현지시간) 전했다.
‘성공하려거든 일찍 일어나라’고 강요하는 것 같다. 그렇다고 우리 모두가 슈퍼 얼리 버드가 되어야 할까? 이렇게 하면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까? 하지만 이렇게 일찍 일어나면 대가가 따른다.
우선 왈버그가 새벽 2시 30분에 일어난다고 하면 정말 긴 하루를 보내고 잠을 안 잘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는 매일 밤 7시간의 잠을 잔다. 건강을 위해 권장하는 일이다. 생산성에도 직결된다. 잠이 부족하면 건강이나 인지능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워싱턴 대학의 크리스토퍼 반스와 미시건 대학의 그레첸 스프라이처 교수는 기업들이 직원들로 하여금 충분히 잠을 잘 수 있게 만드느냐를 정밀하게 들여다보는 연구자들이다. 스프라이처 교수는 우선 왈버그처럼 일찍 일어나면 다른 가족의 방해를 받지 않고 온전히 스스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저녁에 일찍 잠자리에 들어야 해 희생할 게 적지 않다. 좋은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사교 네트워크와 강력한 사회관계를 발전시킬 능력을 희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AFP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9/16/SSI_20180916060200_O2.jpg)
![AFP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9/16/SSI_20180916060200.jpg)
AFP 자료사진
반스 교수는 “심리적으로나 습관적으로나 자신의 자연스러운 주기 리듬에 맞춰 하루를 보내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극단적인 스케줄을 갖고 있다고 모든 사람에게 떠벌이는 이들은 뭔가 다른 동기를 숨겨놓고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왜 사람들은 일찍 일어나는 것을 자랑하려 하는가? 자신의 생산성이 높다는 점을 내보이려는 환상에 사로잡힌 것은 아닐까? 나아가 많은 사회집단은 일찍 일어나는 사람을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편견을 갖고 있다.
2014년의 한 연구는 120명의 일하는 성인들을 조사한 결과 늦게 일어나는 사람들은 상사의 업무 능력 평가에서 더 나쁜 점수를 받고 성실함에서 부족한 직원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문제는 올빼미형인 상사일수록 자신과 같은 유형의 직원들을 더 부정적으로 바라본다는 것이었다.
반스 교수는 “사람들은 작업 스케줄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놓고 편견을 갖고 있다. 일찍 하루를 시작할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다”며 “이런 평가를 극대화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 결국 사람들을 감명시키려고 노력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하루를 마감하며 몸이 들려주는 얘기에 귀 기울이면 언제 쉬어야 할지 알 수 있다. 하루를 일찍 시작하면 스스로가 더 생산적이라고 여기게 된다. 그러면 왜 자신이 그일을 하는지, 진짜로 좀더 많은 것이 이뤄졌는지를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어떤 이유가 됐든 건강이 최우선이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