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은 27일(현지시간) 인스타그램과 함께 앞으로 자사 플랫폼에 백인 민족주의·분리주의에 대한 찬양 및 지지 게시물을 올리는 것을 금지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2019.03.28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3/28/SSI_20190328134127_O2.jpg)
![페이스북은 27일(현지시간) 인스타그램과 함께 앞으로 자사 플랫폼에 백인 민족주의·분리주의에 대한 찬양 및 지지 게시물을 올리는 것을 금지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2019.03.28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3/28/SSI_20190328134127.jpg)
페이스북은 27일(현지시간) 인스타그램과 함께 앞으로 자사 플랫폼에 백인 민족주의·분리주의에 대한 찬양 및 지지 게시물을 올리는 것을 금지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2019.03.28 AFP 연합뉴스
호주 출신 백인으로 극단주의 성향의 총격범이 당시 상황을 생중계하는 플랫폼으로 이용된 페이스북은 이를 사전에 인지해 차단하는 데 실패했으며 해당 영상이 온라인에서 급속도로 확산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페이스북은 이미 백인 우월주의 관련 콘텐츠를 올리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백인 민족주의·분리주의 콘텐츠는 예외였다. 페이스북은 “우리는 민족주의와 분리주의의 더 넓은 개념, 즉 미국인의 자부심과 사람들의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인 바스크 분리주의와 같은 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같은 근거를 백인 민족주의에 적용하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전 세계의 인종 관련 전문가와 시민사회 구성원, 학자들과 논의한 결과 백인 민족주의·분리주의는 조직화된 증오 집단에서 백인 우월주의와 의미있게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다시 생각하게 됐다”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앞으로 ‘아메리칸 프라이드’, ‘바스크 분리주의’ 등 백인 민족주의·분리주의 관련 콘텐츠도 검색되지 않도록 조처할 계획이다. 일례로 사용자가 백인 우월주의 또는 민족주의 관련 콘텐츠를 검색하면 페이지가 자동으로 증오 반대 비영리기구 ‘라이프 애프터 헤이트’ 사이트로 넘어가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 사이트는 사용자들이 증오를 부추기는 단체에서 벗어나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2011년 개설됐다.
페이스북은 지난 3개월간 미국, 유럽, 아프리카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민 인권 단체와 전문가 등과 함께 20차례 인종 관련 회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 중에는 워싱턴DC 소재 진보성향 변호사들의 모임인 ‘법적 시민권을 위한 변호사 위원회’(LCCRUL)도 포함됐다. 크리스틴 클라크 LCCRUL 사무국장은 “백인 우월주의 및 민족주의 증오·폭력에 대한 대처는 늦어도 한참 늦었다”면서 “백인 민족주의와 우월주의가 다르다는 생각은 잘못된 구분”이라고 지적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