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브렉시트 선택···43년 만의 EU 탈퇴로 세계 정치, 경제 격변 전망(종합)

英, 브렉시트 선택···43년 만의 EU 탈퇴로 세계 정치, 경제 격변 전망(종합)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6-24 16:45
수정 2016-06-24 16: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오늘 브렉시트 국민투표···영국, EU 탈퇴 확정
오늘 브렉시트 국민투표···영국, EU 탈퇴 확정 영국과 유럽연합(EU)의 운명을 가를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이탈) 국민투표가 23일 오전 7시(현지시간)부터 오후 10시까지 영국 전역에서 실시됐다. 개표 결과 탈퇴 의견이 51.9%, 잔류 의견이 48.1%로 집계돼 브렉시트가 확정됐다. 연합뉴스


결국 영국 국민의 다수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선택했다.

23일(현지시간) 실시된 영국의 EU 잔류, 탈퇴를 묻는 국민투표 개표 결과 탈퇴 51.9%, 잔류 48.1%로 최종 집계됐다. 전체 유권자 4650만명 중 72.2%가 참가한 가운데 ‘영국이 EU 회원국으로 남아야 하는가, 아니면 EU를 떠나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1741만명이 ’EU 탈퇴를 선택했다.

‘EU 잔류’를 선택한 국민은 1614만명이었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투표 당일에 사전에 명단을 확보한 투표자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EU 잔류가 52%, 탈퇴가 48%로 예측돼 잔류에 무게가 실렸지만 국민투표 개표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영국은 1973년 EU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EEC)에 가입한 이후 43년 만에 EU에서 이탈한다. 앞으로 EU의 리스본 조약에 따라 EU 이사회와 2년간 탈퇴 협상에 들어간다. 상품·서비스·자본·노동 이동의 자유는 물론 정치·국방·치안·국경 문제 등 EU 제반 규정을 놓고 새로운 관계를 협상해야한다.

EU는 출범 이후 사상 처음으로 회원국 이탈 상황을 맞게돼 회원국이 28개국에서 27개국으로 줄어든다.

EU는 영국의 탈퇴에 따른 ‘이탈 도미노’ 우려와 함께 EU 위상과 지형 자체가 흔들리는 위기를 맞게 됐다. 영국은 독일, 프랑스 등과 함께 EU를 받쳐온 삼각축이다.또 EU 국내총생산(GDP)의 18%를 차지하고 EU 분담금도 독일 다음으로 많이 낸다.

영국 국내적으로는 EU와의 재협상 과정에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어떤 협정이 되더라도 2년내 일자리가 50만개가 사라지고 국내총생산(GDP)이 3.6% 위축될 것이라고 영국 정부는 추정했다. 연쇄적으로 EU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면서 세계 경제에도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EU 잔류 진영을 이끈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국민투표 이후 “영국의 EU 잔류를 위해 최선을 다했다”면서도 “국민들은 새로운 리더십을 원한다”면서 오는 10월 총리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이날 파운드화 가치는 1985년 이후 31년래 최저로 떨어졌고, 엔화 가치는 폭등하는 등 국제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EU를 비롯한 각국은 브렉시트 상황에 대비한 비상회의를 소집하면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영국민들이 브렉시트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이민을 억제하고 주권을 되찾기 위함이다. EU의 솅겐조약이 내건 ‘이동의 자유’ 원칙 때문에 영국 내에 각종 사회 문제를 일으키는 이민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해결책은 EU를 떠나는 길밖에 없다는 탈퇴 진영의 주장에 공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EU에 연간 30조원 가까운 분담금을 내면서도 돌려받는 것은 적을 뿐더러 독일이 주도권을 행사하는 EU의 각종 법규들에 옭매어 주권을 잃어버렸다는 인식도 EU를 떠나자는 목소리를 키웠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