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서부도 규모 7.0 강진 가능성”…“한국에 미칠 영향은 적다” 분석
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22일 규모 7.4의 강진이 발생한 데 이어 뉴질랜드에서도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해 이들 국가가 위치한 환태평양조산대(일명 ‘불의 고리’)의 심상찮은 움직임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국가에서 최근 지진이 부쩍 잦아지면서 ‘불의 고리’가 꿈틀거리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11/22/SSI_2016112218354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11/22/SSI_20161122183548.jpg)
일본 기상청은 이날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하 25㎞ 지점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은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규모 9.0)의 여진으로 분석된다”면서 “항후 1주일 내 규모 7 정도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지진이 진앙이 이번처럼 깊지 않으면 쓰나미를 동반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고 AP통신이 전했다. NHK는 2011년 3월 이후 일본 혼슈 동북부 지방에서 지금까지도 1년에 한 번 정도 규모 7 정도의 여진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날 오후 1시 19분쯤 뉴질랜드 수도 웰링턴에서 동쪽으로 228㎞ 떨어진 북섬 앞바다에서 규모 6.0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뉴질랜드에서는 지난 14일 밤 12시쯤 남섬 노스캔터베리 인근에서 규모 7.8 지진이 발생해 2명이 사망한 바 있다.
과학자들은 올해 초부터 환태평양조산대에서 잦은 지진이 더 강력한 대형 지진의 전조일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대규모 지진에 앞서 여러 차례 지진이 이어진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지난 15일 후쿠시마와 가까운 이바라키현 앞바다에서도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 20일에는 남미 아르헨티나 서부 산후안 인근에서 규모 6.4의 강진이 발생했고, 그보다 앞선 13일과 4일에도 인근의 라리오하와 칠레 중부 탈카에서 각각 규모 6.2, 6.4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USGS 전문가들은 수년 내 미국 서부 해안에서도 규모 7.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영국 데일리스타가 보도했다.
다만 이번 지진이 한국의 지진 활동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일본 지진은 태평양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경계에서 발생했지만 지난 9월과 같은 한국의 지진은 유라시아판 내부의 단층이나 약한 부분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형태라서 성격이 다르다”며 “일본 동쪽 해안 지진들은 일본 열도에 막혀 있기 때문에 유라시아판 안쪽에 자리잡은 한국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11-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