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13354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133541.jpg)
전시 제목 ‘交, 향’은 ‘서로 어우러져 진동한다’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출발, 한국과 일본의 디자이너와 디자인 문화가 만나 서로 어우러져 즐기고 새로운 미래를 상상하자는 화두로서 선택했다고 미술관측은 밝혔다. 전시장은 한국과 일본의 1세대 디자이너 대표작을 비롯해 20세기 한·일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전시 섹션과 한·일 디자인 연대기 및 한국 디자인스튜디오의 역사와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로 구성된 아카이브 섹션으로 구성됐다. 전시실을 향하는 복도에는 한국과 일본 각 5명의 그래픽 디자이너가 이번 전시를 기념해 ‘交, 향’을 모티브로 제작한 포스터가 관객을 맞는다.
첫 번째 전시공간에는 한국의 권명광, 김현, 조영제의 88년 서울 올림픽 포스터와 마스코트 호돌이, 산업화의 과정에서 탄생한 기업 디자인과 광고 포스터 등 현대적 디자인의 시작을 이끌었던 한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1세대의 작품이 소개된다. 타이포그래피와 편집디자인 분야에서 한국의 현대적 그래픽디자인을 탄생시킨 안상수, 이상철, 정병규의 출판물과 작업들은 우리 문자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일본 그래픽디자인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가메쿠라 유사쿠, 나카무라 마코토, 나가이 카즈마사, 다나카 잇코, 후쿠다 시게오 등의 작품도 소개된다. 1964년 도쿄 올림픽 포스터부터 상업광고에 이르는 일본 그래픽 1세대의 광범위한 작업과 스기우라 코헤이의 ‘만다라’ 시리즈 등 일본의 주요 출판물 약 60여권을 접할 수 있다.
두 번째 전시공간에서는 한·일 양국의 중견 디자이너부터 현재 활발하게 활동 중인 신진 디자이너까지 아우르는 그래픽 디자인의 전개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포스터, 잡지, 북디자인, 인포그래피, 패키지, 캘리그래피, 아이덴티티 그리고 영상에 이르기까지 디자인 장르를 총망라한 작품들로 구성됐다. 자일리톨 껌 패키지와 이세이 미야케의 ‘PLEATS PLEASE’ 연작 포스터로 잘 알려진 사토 타쿠, 유니클로의 아트디렉팅으로 새로운 시각 언어를 구사하는 사토 카시와, 무지(MUJI) 아트디렉터로 잘 알려진 하라 켄야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진보적이고 자유로운 시도로 그래픽디자인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김영나, 슬기와민, 워크룸 등의 작품이 전시된다.
마지막 아카이브 공간에서는 한·일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의 연대기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그래픽 디자인 문화’ 프로젝트가 펼쳐진다. 203 인포그래피연구소가 진행한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과 일본의 그래픽디자인 역사 50년을 사회문화와 더불어 살펴본 연대기, 한국의 디자이너와 디자인 스튜디오 문화에 대한 설문을 시각화한 인포그래피 그리고 한국의 스튜디오 문화를 이끌었던 대표 디자이너 10인의 인터뷰 등으로 구성됐다. 전시장 출구에는 대형 플로터를 설치해 특정 시간마다 전시기념 포스터를 관람객에게 증정할 예정이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11410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114100.jpg)
자세한 내용은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http://www.mm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시는 10월 18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