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개 업체 모여…“모임·행사 분류 수정 등 요청”
![대학로의 한 소극장을 방역하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2/SSI_20210412162806_O2.jpg)
![대학로의 한 소극장을 방역하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2/SSI_20210412162806.jpg)
대학로의 한 소극장을 방역하는 모습. 연합뉴스
음공협은 지난 8일 대중음악공연 업체 35개가 모여 단체를 출범시켰다고 12일 밝혔다. 대중음악 공연계를 대표하는 단체가 만들어진 것은 처음으로 향후 전국적인 사단법인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음공협에는 대형 페스티벌, 아이돌 콘서트, 월드투어, 해외 아티스트의 내한공연, 비수도권 공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이 모였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업계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표성을 갖는 협회의 부재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 출범 계기라고 협회측은 설명했다.
음공협은 “대중음악 공연 업은 애매한 기준으로 1년 이상 제대로 된 업무 시도조차 못하고 생존권을 위협받는 유일무이 한 업종이 됐다”면서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관계 부처의 정책 수립 및 지원 제도 마련에 업계의 직접적인 목소리는 배제됐다”고 강조했다.
정부 지원책도 요구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에서 대중음악공연을 모임·행사로 분류한 것을 수정하고, 무증상 감염자를 선제적으로 찾아낼 수 있도록 공연 현장에 진단키트를 보급해 공연이 열릴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밖에 ▲상시 TF 구성 후 규정 및 정책 논의 ▲관계 부처를 아우를 수 있는 대중음악공연 전담 핫라인 설치 ▲업계 피해에 대한 실질적 보상 마련을 촉구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