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 네 탓 아냐 그건 뇌 탓이야

실패, 네 탓 아냐 그건 뇌 탓이야

입력 2012-09-08 00:00
수정 2012-09-08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간절히 원하면 그 뜻이 하늘에 닿아 이루어진다.”면서 의지를 강조한 ‘비밀’스러운 책이나 “믿는 대로 이루어지리라.”는 ‘긍정’ 넘치는 책이 출판계를 평정한 때가 있었다. 책을 읽는 순간에는 대단한 변화를 느낀 사람이 상당수지만, 실천하다가 실패를 맛본 사람도 부지기수다. 모든 것이 마치 의지 부족 탓인 듯했는데 다행스럽게도 “그게 네 탓이 아니었다.”면서, 그 이유를 뇌작용으로 명쾌하게 설명한 책이 나란히 나왔다.

과학칼럼니스트인 데이비드 디살보는 ‘나는 결심하지만 뇌는 비웃는다’(왼쪽 이은진 옮김, 모멘텀 펴냄)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인지과학이나 심리요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뇌가 실수를 저지르는 과정을 쉽게 설명한다. “뇌는 변함없는 상태인 항상성을 추구한다.”가 기본 원리이다. 이런 원리 때문에 종종 잘못된 선택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뇌가 정보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정신구조인 스키마의 오류이다. 스키마는 발달할수록 많은 정보를 얻지만 그 정보에 들어맞지 않으면 무시한다. 취업면접을 볼 때 업무, 근무시간, 연봉 등 중요한 정보가 있어도 경력이라는 확실한 스키마가 자리잡으면 여기에 어긋나는 정보는 묵살한다. 저자는 또 “뇌는 날 때부터 저항이 가장 적고 덜 위험한 길을 선택하게 돼 있다.”고 주장하며 의지와 욕구만 있으면 무엇이든 성취할 수 있다고 부추기는 것도 단순한 생각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뇌의 성향을 기초로 일상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를 극복하는 방법을 전한다. 1만 5000원.

‘너무 다른 사람들’(오른쪽 리처드 J. 데이비드슨·샤론 베글리 지음, 곽윤정 옮김, 알키 펴냄)은 회복 탄력성, 관점, 사회적 직관, 자기 인식, 맥락 민감성, 주의 집중이라는 6가지 정서 유형이 뒤섞여 개인의 성격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요즘 많이 접하는 ‘공황장애’는 자신의 몸과 마음의 변화를 민감하게 느끼는 정도인 ‘자기 인식’에 따른 현상이다. 자기 인식 수준이 극도로 높으면 뇌의 섬엽이 활성화하면서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허파가 빨리 숨을 들이키게 된다. 이게 심해지면 공황장애가 생긴다는 것이다. 1만 6000원.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9-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