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66日, 소리와 몸·짓·展-공연 난장 4.0’ 개막
날것 그대로의 ‘생’(生) 몸짓이 온다. 극단 서울공장과 서울 대학로 원더스페이스극장이 함께하는 ‘66日, 소리와 몸·짓·展’이 추석연휴 직후인 24일부터 시작된다. 프로젝트에는 ‘공연 난장 4.0’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1.0 버전이 웹 세상, 2.0 버전이 커뮤니티, 3.0 버전이 트위터를 뜻한다면, 4.0 버전은 이제 인간의 원형 복원이 놓여 있지 않을까라는 문제의식이 반영된 것이다.![한·러 수교 20주년을 맞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백치’를 연극으로 만든 ‘백치와 백지’. 서울공장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16/SSI_20100916174134.jpg)
서울공장 제공
![한·러 수교 20주년을 맞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백치’를 연극으로 만든 ‘백치와 백지’. 서울공장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16/SSI_20100916174134.jpg)
한·러 수교 20주년을 맞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백치’를 연극으로 만든 ‘백치와 백지’.
서울공장 제공
서울공장 제공
![‘논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16/SSI_20100916174158.jpg)
![‘논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16/SSI_20100916174158.jpg)
‘논쟁’
![‘도시녀의 칠거지악’](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16/SSI_20100916174149.jpg)
![‘도시녀의 칠거지악’](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9/16/SSI_20100916174149.jpg)
‘도시녀의 칠거지악’
18세기 프랑스 대표작가 피에르 드 마리보의 원작을 다시 변용한 생사랑짓 ‘논쟁 BC’(10월7일~11월7일)도 관심 작품이다. 갓 태어난 아기들을 20년 동안 격리수용한 다음 다시 만나게 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를 그린 작품이다.
배우들이 전라(全裸)로 만나는 장면 때문에 화제를 모았다. 작품성을 강화해 누드 화제를 누르겠다는 각오다. 제목에 ‘BC’(기원전)가 추가된 것도 아무것도 모른 상태에서 만난 아담과 이브의 태초와도 같은 상황을 찾아내 보겠다는 의지가 들어간 것이다.
생낭독극 ‘왕모래’(10월27일~11월7일)는 어미에 대한 사랑을 어미 살해로 완성한다는 파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인간 존재와 운명을 묻는 작품으로 ‘소나기’를 쓴 황순원의 숨겨진 수작으로 꼽히는 소설을 무대에 올린 것이다. 젊은 국악실내악단 정가악회까지 등장해 음악, 영상, 낭독, 연기가 어우러진 복합 무대를 선보인다.
생바보전 ‘백치와 백지’(11월11~28일)는 한·러 수교 20주년을 맞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백치’를 처음 국내 무대에 올리는 작품이다. 한 켠에는 소설의 주인공 미슈킨을, 다른 한 켠에는 동네마다 한 명씩은 있는 바보형을 등장시킨다. 러시아 연출가 안드레이 셀리바노프와 공동연출을 통해 두 나라의 바보 문화를 대비시켜 보겠다는 의도다.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됐다. 10월7일 ‘논쟁 BC’ 공연 전에는 의수 화가 석창우씨가 배우들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크로키 시연회를 연다. 매주 토요일 저녁에는 싱어송라이터 박정아의 ‘도시녀 콘서트’가 열리고, 젊은 작가들의 사진전 및 미디어 아트 전시도 열린다. 공연과 전시는 원더스페이스 안의 동그라미·네모 극장 등에서 나눠 펼쳐진다. 2만 5000~3만 5000원. (02)745-0334.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9-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