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원인과 관련해 미군도 북한 어뢰 공격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고 CNN방송 인터넷판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사는 미군 관계자의 말을 인용, 천안함 침몰 원인이 수중 폭발에 의한 것이며 선체에 직접 닿지 않는 형태의 폭발 장치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어뢰 공격설이 미군 관계자로부터 언급돼 미 언론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앞서 미 언론들은 한국 정부가 점차 북한 어뢰 공격설에 무게를 싣고 있다고 잇따라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판은 김태영 국방장관의 “중어뢰에 의한 버블제트(물기둥) 때문”이라는 발언을 언급하면서 한국 정부가 북한군 공격에 의한 침몰이라는 점을 점차 분명히 해 가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그러나 한국이 군사적 대응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군사적 대응으로 한국 경제가 흔들리거나 북한이 불안정해져 한국이 떠맡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새로운 대북 경제 제재를 가하도록 요구하거나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등의 방안이 가능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망했다.
한편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은 북한 공격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지만 민·군 합동조사단이 정확한 폭발 형태를 규명하지 못하면서 북한 어뢰부터 한국전쟁 때 미회수된 기뢰까지 침몰 원인이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기사는 미군 관계자의 말을 인용, 천안함 침몰 원인이 수중 폭발에 의한 것이며 선체에 직접 닿지 않는 형태의 폭발 장치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어뢰 공격설이 미군 관계자로부터 언급돼 미 언론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앞서 미 언론들은 한국 정부가 점차 북한 어뢰 공격설에 무게를 싣고 있다고 잇따라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판은 김태영 국방장관의 “중어뢰에 의한 버블제트(물기둥) 때문”이라는 발언을 언급하면서 한국 정부가 북한군 공격에 의한 침몰이라는 점을 점차 분명히 해 가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그러나 한국이 군사적 대응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군사적 대응으로 한국 경제가 흔들리거나 북한이 불안정해져 한국이 떠맡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새로운 대북 경제 제재를 가하도록 요구하거나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등의 방안이 가능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망했다.
한편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은 북한 공격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지만 민·군 합동조사단이 정확한 폭발 형태를 규명하지 못하면서 북한 어뢰부터 한국전쟁 때 미회수된 기뢰까지 침몰 원인이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04-2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