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첫 상임위도 불참… 13일 의총서 ‘정두언 후폭풍’ 침묵 깨나
12일 국회 출입 기자들은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서프라이즈’를 볼 뻔했다. 이날 오전에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도 참석할 겸 ‘기자들과의 깜짝 만남’ 같은 것을 고려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박 위원장은 기재위 회의에도 나타나지 않았다. 기자들은 더욱 만날 수 없었다. 정두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때문이다. 일정과 프로그램이 완전히 꼬인 것이다. 이날 박 대표의 모습은 공개되지 않았다.![주인은 어디에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로 원내대표단이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에 불참해 자리가 비어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2/SSI_20120712165746.jpg)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로 원내대표단이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에 불참해 자리가 비어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주인은 어디에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로 원내대표단이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에 불참해 자리가 비어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2/SSI_20120712165746.jpg)
주인은 어디에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로 원내대표단이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에 불참해 자리가 비어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로 원내대표단이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에 불참해 자리가 비어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12일 밤 친박계의 ‘참모’들은 긴장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삼삼오오 대책을 숙의하는 모임이 곳곳에서 마련됐다.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뒤 박 전 위원장이 ‘대노’(大怒)했다는 소문이 확산된 것도 이 무렵이다. 한 참모는 “대선에 미칠 악영향을 운운하는데, 지금 그런 상황이 아니다. 총선 때 내걸었던 대국민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데 대한 분노가 1차적인 것 같다. 이런 분위기가 주변에 빠르게 전달되는 것 같다.”고 소개했다.
이날 아침 이한구 원내대표가 이날 소속 의원 전원의 대국민 사과와 정 의원의 탈당 등을 요구한 것은 이런 흐름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전날 당 지도부가 심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 의원의 법정 자진 출두를 촉구한 데서 한 발 더 나아간 것이다.
저녁부터는 박 전 대표가 13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특별한 메시지’를 내놓을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분명한 방향과 흐름을 제시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다. 이미 사의를 표명한 원내지도부 퇴진 문제도 당연히 논의된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리더십에 상처가 난 상황에서 여야 협상을 주도적으로 이끌 동력이 없다.”며 사퇴 번복 불가를 강조했다.
박 전 위원장이 초강수를 선택한다면 수습의 속도는 빨라질 전망이다. 그럼에도 당의 쇄신 이미지에 난 ‘상처’가 회복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밖에 없어보인다.
원내 새 원내지도부 구성 등 조직을 재정비하는 문제 또한 녹록지 않다. 차기 원내대표 후보군에 이주영·정병국·원유철·정갑윤 의원 등이 거론된다. 박 전 위원장과의 호흡을 맞추는 데에는 이주영 의원이 가장 적합하다는 평가지만, 박 전 위원장의 특보단장을 맡고 있어 거취 조정이 쉽지 않다.
또 상임위원장 배정을 다 끝낸 뒤여서 정책위의장을 맡을 3선급은 씨가 마른 상태다. 20여명에 이르는 원내대표단 등 전체 조합을 감안하면 선택의 폭은 대단히 제한돼 있다.
친박 일각에서는 “차라리 이번 일을 조직부터 지향점까지 대대적으로 정비하고 재출발하는 기회로 삼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한 친박계 인사는 “당분간 영향은 있겠지만 분위기가 강도 높게 일신된다면 박 전 위원장의 대선 행보가 더욱 탄력을 받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2-07-1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