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안의 국회 본회의 처리 실패로 적지 않은 정치적 타격을 입었다. 집권여당 원내대표로 해야 할 대야 협상과 당청 조율, 그리고 당 소속 의원들의 총의를 모으는 일까지 3가지 기본 임무 모두에서 ‘결과적으로’ 낙제점을 받았고, 그의 리더십에도 상처가 났다. 유 원내대표는 7일 주변에 “날 건드리지 말라”는 말을 남기고 공식석상에 두문불출했다.
이미지 확대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
유 원내대표가 야당이 요구한 국민연금 명목소득대체율을 40%에서 50%로 높이는 내용의 공적연금 강화 방안에 합의한 게 이번 사달의 단초가 됐다. 거기에 유 원내대표가 50%를 규칙의 부칙 아래 첨부서류에라도 명시하자는 야당의 중재안을 수용하면서까지 6일 이내에 처리하려고 밀어붙인 게 화근이었다. 유 원내대표는 청와대와의 조율에 실패했고, 의원들의 입장도 하나로 모으지 못했다. 결국 야당과의 협상마저 산산조각 나 버렸다. 당내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은 “2월 국회에 이어 4월 국회까지 유 원내대표가 야당과의 협상에서 얻어 낸 것이 뭐가 있느냐”며 “협상력 제로 원내대표”라고 쏘아붙였다. 이들과 유 원내대표를 옹호하는 의원과의 신경전도 잇따르는 등 내홍은 점점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지난 4월 9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명연설로 갈채를 받으며 주목받았다. 그가 가진 명쾌한 논리와 합리성을 띤 주장은 정치권에서도 그 탁월함을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이런 학자적 면모가 정치력을 필요로 하는 원내대표를 수행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시각도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5-05-0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