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 자유한국당 의원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20/SSI_20180620101355_O2.jpg)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서청원 자유한국당 의원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20/SSI_20180620101355.jpg)
서청원 자유한국당 의원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서 의원은 이날 ‘평생 몸담았던 당을 떠나며’란 입장문을 내고 “총선 패배 이후 벌써 2년여 동안 고민해 왔다. 이제 때가 됐다고 판단했다”며 “눈물은 흘리지 않겠다. 마지막 소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서 의원은 이어 “‘노병은 결코 죽지 않고 다만 사라질 뿐’이라고 했다. 저도 마찬가지”라면서 “이제는 제가 당에 도움을 드릴 수 없기에 조용히 자리를 비켜드리겠다”고 했다.
서 의원은 “당은 해체 위기에 몰렸다”면서 “무기력하게 폐허에서 울고만 있을 수는 없다. 국가는 계속 살아야 하고, 국민은 오늘도 어김없이 살림을 해야 하고, 보수정당도 다시 살려내야 한다”고 썼다. 또 “건강한 보수정당은 나라의 기둥이고, 국민의 기댈 언덕”이라며 “그 역할을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번에야 말로 건강하게 거듭나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보수 위기 해법으로는 “‘실종된 정치’가 복원돼야 한다”며 “정치가 실종된 빈 자리에 오만, 독선이 자리 잡고 독주가 횡행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저를 포함한 정치인 모두의 책임”이라며 “보수의 가치를 제대로 지키지 못해, 국민의 분노를 자초한 보수진영 정치인들의 책임이 크다.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사과했다.
서 의원은 친박·비박 계파 갈등 재현 조짐을 탈당 이유로 들었다. 서 의원은 “한국당이 다시 ‘불신의 회오리’에 빠졌다. 아직도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친이’ ‘친박’ 분쟁이 끝없이 반복되며 한발짝도 못 나가고 있다. 역사에 기록될 비극적 도돌이표”라면서 “제가 자리를 비켜드리고자 결심한 결정적 이유”라고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