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어린이집 비리 문제, 온 국민 분노할 일”
![사진은 김병준(오른쪽)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같은 당의 김성태 원내대표가 지난 1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짜일자리 실상 및 대책 마련 긴급간담회’에서 대화하고 있는 모습. 2018.10.18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0/20/SSI_20181020211647_O2.jpg)
![사진은 김병준(오른쪽)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같은 당의 김성태 원내대표가 지난 1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짜일자리 실상 및 대책 마련 긴급간담회’에서 대화하고 있는 모습. 2018.10.18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0/20/SSI_20181020211647.jpg)
사진은 김병준(오른쪽)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같은 당의 김성태 원내대표가 지난 1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짜일자리 실상 및 대책 마련 긴급간담회’에서 대화하고 있는 모습. 2018.10.18 연합뉴스
여론이 들끓자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도 “학부모들만이 아니라 온 국민이 분노할 일”이라면서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비리 유치원 명단을 공개한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향해 격려의 메세지를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생각한 비리 근절 대책은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대책과는 내용이 조금 달랐다.
김 위원장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매년 수 조원이 넘는 국가예산을 지원받는 이들 기관의 상당수가 그 돈을 아이들을 위해 쓰지 않고 사적으로 유용했다니 (중략) 학부모들만이 아니라 온 국민이 분노할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당은 아니지만 이렇게 중요한 문제를 파헤친 민주당 박용진 의원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수고가 많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의원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유치원 1878곳을 대상으로 특별감사를 진행해 비리가 적발된 유치원 명단을 공개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공개된 비리 유치원 명단은 잘못을 지적한 감사 결과를 수용한 유치원만 포함돼 있다. 또 지난해 기준으로 국공립유치원은 4747곳이고 사립유리원은 4282곳인 점을 감안한다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감사 결과라 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사립유치원에 투명한 회계시스템과 감사 체계를 도입하는 일은 필요하다면서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자율 정화체계를 강화시켜 주는 일”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투명한 회계시스템을 갖추게 하여 돈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상시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은 기본”이라면서 “여기에 학부모 협동조합 형태의 운영을 권장하거나, 학부모로 구성된 이사회가 책임을 공유하게 하는 등의 방법도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아니라 학부모에게 보조금을 지급해 학부모로 하여금 그 돈이 어디서 오는 것인지를 보다 획실히 인식하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분명한 것은 국가가 감독과 통제를 독점하거나 주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면서 “그렇게 하는 경우 자칫 유치원과 어린이집 운영이 경직화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창의적인 운영과 교육이 방해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비영리단체 ‘정치하는 엄마들’ 주최로 20일 시청역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시민들이 비리 유치원 엄중 처벌과 국가회계시스템을 사립유치원에 도입할 것 등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0/20/SSI_20181020135702_O2.jpg)
![비영리단체 ‘정치하는 엄마들’ 주최로 20일 시청역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시민들이 비리 유치원 엄중 처벌과 국가회계시스템을 사립유치원에 도입할 것 등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0/20/SSI_20181020135702.jpg)
비영리단체 ‘정치하는 엄마들’ 주최로 20일 시청역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시민들이 비리 유치원 엄중 처벌과 국가회계시스템을 사립유치원에 도입할 것 등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
하지만 부모들은 그외에도 비리가 적발된 유치원, 그리고 이를 방관한 교육당국 책임자의 처벌을 강조했고, 국공립유치원 중에서도 약 7%에 불과한 단설 유치원의 확대를 촉구하기도 했다. 반면 김 위원장의 이날 페이스북 글에는 국공립유치원 확대와 관련한 의견은 없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