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웅산 구사일생’ 이기백 전 장관 별세

‘아웅산 구사일생’ 이기백 전 장관 별세

이주원 기자
입력 2019-12-16 18:42
수정 2019-12-16 2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두환 정권 조작한 ‘평화의댐’ 착공 발표

이미지 확대
이기백 前 국방부 장관 별세 연합뉴스
이기백 前 국방부 장관 별세
연합뉴스
북한의 미얀마 아웅산 테러 당시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진 이기백 전 국방부 장관이 16일 별세했다. 88세.

충남 연기 출신인 고인은 1952년 육사 11기로 입교한 뒤 1955년 9월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1군단장, 2작전사령관, 육군참모차장, 합참의장과 24대 국방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과 육사 동기지만 11기가 주도한 군 사조직 ‘하나회’에 가입하지 않고도 대장까지 진급했다.

1983년 합참의장 재직 시절 전 전 대통령 수행원으로 아웅산 묘소에 갔다가 북한 공작원의 폭탄 테러로 부상당했다. 머리와 배에 파편이 박히고 다리가 서까래에 깔려 크게 다쳤다. 다행히 정복 좌측 가슴에 단 휘장이 파편을 막아내 목숨을 건졌다. 당시 부관이던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예비역 중장)이 무너진 건물 더미에서 피투성이가 된 고인을 구해냈다. 고인이 10시간 이상의 대수술 끝에 깨어나 부관에게 “대통령은 무사하시냐?”라고 질문한 것은 두고두고 회자했다.

그는 또한 1986년 ‘평화의 댐’ 착공 계획 발표 당시 관계 장관 합동성명에도 참여했다. ‘북한이 금강산댐으로 수공을 가하면 서울이 순식간에 물바다가 되고 만다’며 대대적 성금 모금까지 진행됐던 이 사건은 1993년 감사원 특별감사에서 정치적 궁지에 몰린 전두환 정권이 위기돌파용으로 준비한 조작으로 드러났다.

고인은 전역 후 숱한 정치권 입문 제의가 있었으나 뿌리친 것으로 알려졌다. 보국훈장 삼일장, 보국훈장 국선장, 보국훈장 통일장, 수교훈장 광화장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전경연씨와 딸 재영씨가 있으며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영결식은 18일 낮 12시, 서울현충원에서 합참장으로 진행된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