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선 경선 후보가 23일 서울 서초구 한 빌딩에서 열린 ‘전국자영업자비상 대책위원회와 함께하는 코로나19 대응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1.8.23 국회사진기자단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선 경선 후보가 23일 서울 서초구 한 빌딩에서 열린 ‘전국자영업자비상 대책위원회와 함께하는 코로나19 대응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1.8.23 국회사진기자단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전·충남 지역 경선에 이어 5일 열린 세종·충북 경선에서도 이재명 경기지사에게 대패하면서 양강 구도를 형성해 결선 투표행을 노렸던 캠프 전략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이 전 대표는 일반 국민 64만여명이 참여하는 오는 12일 1차 슈퍼위크와 권리당원 등 20만여명의 선거인단이 참여하는 호남권 경선에서 반전의 계기를 반드시 마련해야 할 상황이다.
충청권 누적 득표율은 이 지사 54.72%, 이 전 대표 28.19%를 기록했다. 충청권 선거인단 수는 전체의 10%에 불과하지만 충청 민심이 전통적으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 온 데다 첫 경선 결과란 점에서 이후 다른 지역 경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전 대표로서는 충북에서의 패배가 뼈아프다. 충북을 지역구로 둔 이장섭·임호선·홍성국 의원 등이 적극적으로 이 전 대표를 돕는 등 조직력이 발동돼 대전·충남에선 어렵겠지만 충북에선 해볼 만하다는 기대감이 컸기 때문이다. 선거인단 투표 결과가 대중 여론조사 결과로 수렴해 가면서 조직 동원에 의한 표심이 실제 경선 결과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조원씨앤아이 김대진 대표는 “네거티브 캠페인이 권리당원이나 당심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 걸로 판명 났다”며 “이 지사와 이 전 대표 간 격차가 벌어진 점에 있어서는 오히려 네거티브가 부정적인 효과를 낳았다”고 분석했다. 김 대표는 이어 “대세론에 의해서 될 사람을 밀어주자는 ‘밴드왜건 효과’도 있는 것 같다”며 “이 전 대표가 콘텐츠를 보여 주지 못하고 네거티브만 보여 주면서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히게 됐고 5~10%의 유보층이 이 전 대표를 외면한 결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전 대표의 부진은 국무총리 시절 성과를 이 전 대표가 아닌 문재인 대통령의 성과로 인식하는 국민 여론과 8개월간의 대표 재임 기간 총체적인 개혁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반영됐다는 지적이다. 개표 이후 이 전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메시지를 어떻게 할 것인가, 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가 검토를 해야죠”라며 경선 전략에 대한 손질을 예고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21-09-0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