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한국과 탄소중립 협력에 10년간 421억원 투자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4일 호주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즈주 주총독 관저에서 마가렛 비즐리 주총독 부부 주최 오찬에 참석해 비즐리 주총독 부부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2.14 청와대 페이스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4/SSI_20211214165439_O2.jpg)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4일 호주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즈주 주총독 관저에서 마가렛 비즐리 주총독 부부 주최 오찬에 참석해 비즐리 주총독 부부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2.14 청와대 페이스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4/SSI_20211214165439.jpg)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4일 호주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즈주 주총독 관저에서 마가렛 비즐리 주총독 부부 주최 오찬에 참석해 비즐리 주총독 부부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2.14 청와대 페이스북
문 대통령은 이날 시드니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호주 핵심광물 공급망 간담회에서 “세계 6위의 자원 부국 호주는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이고, 2차 전지·전기차 반도체 경쟁력을 토대로 한 한국은 (글로벌 공급망의) 또 다른 축”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어 “호주에 한국은 세 번째로 큰 광물 수출 시장이고, 한국은 호주로부터 전체 광물의 절반을 수입한다”며 탄소중립과 맞물려 광물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양국 협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간담회는 ‘산업의 비타민’으로도 불리는 핵심광물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국발 요소수 품귀 사태를 계기로 공급망 불안 해소를 위한 수입선 다변화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핵심광물은 전기차와 이차전지, 재생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과 관련된 리튬, 코발트, 니켈, 희토류 등을 일컫는다. 호주는 핵심광물 관련 산업을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니켈과 리튬·코발트 매장량은 세계 2위, 희토류 생산량은 세계 4위다.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시드니 한 호텔에서 열린 한-호주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에 참석, 사이먼 크린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이사장(오른쪽 두번째)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2.14 jeong@yna.co.kr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4/SSI_20211214163247_O2.jpg)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시드니 한 호텔에서 열린 한-호주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에 참석, 사이먼 크린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이사장(오른쪽 두번째)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2.14 jeong@yna.co.kr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4/SSI_20211214163247.jpg)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시드니 한 호텔에서 열린 한-호주 핵심 광물 공급망 간담회에 참석, 사이먼 크린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이사장(오른쪽 두번째)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2.14 jeong@yna.co.kr 연합뉴스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MOU는 양국 간 핵심광물 교역, 투자 확대 등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이다. 양국 정부·기업·연구기관·금융기관 등이 참여하는 ‘핵심광물 실무그룹’을 통해 광물개발·생산 등 분야에서 공동투자, 연구개발 프로젝트 발굴 등 협력을 강화하게 된다.
한편 한국과 호주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청와대가 이날 밝혔다. 공동성명에는 “양국은 인도·태평양의 안정이 남중국해를 포함한 해양 영역에서의 국제법 준수에 달려 있다는 점을 인식한다”는 문구가 실려 눈길을 끌었다.
미중 갈등 국면에서 중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남중국해 문제가 외교 문건에 언급된 게 처음은 아니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도 ‘남중국해 등에서 평화와 안정, 합법적이고 방해받지 않는 상업 및 항행상공비행의 자유’란 표현이 담겼다. 다만 스콧 모리슨 총리가 전날 정상회담에서 오커스(미국·영국·호주 안보동맹) 등 대중국 견제 협의체의 중요성을 부각한 데 이어 공동성명에 명시됐다는 점에서 ‘대중 압박’ 블록에 동참할 것을 압박하는 호주의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