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개혁방송,열린북한방송,자유북한방송,자유조선방송 등 4개 대북방송매체는 6일 오후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이 먼저 연평도에 포격했다는 사실을 아는 북한 주민은 많아야 10%”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북한의 연평도 포격 규탄과 민간 대북방송 활성화를 위한 민간 대북방송 4사(社) 공동 기자회견’에서 “여러 대북 매체들이 내부 통신원의 전언을 종합해 본 결과,대다수 북한 주민들은 조선중앙방송(대내용 라디오방송)이나 제3방송(각 가정에 스피커로 전달되는 일종의 유선방송망) 등 내부 선전용 매체의 보도를 통해 연평도 포격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북한이 먼저 포를 쐈다는 사실을 아는 주민은 10% 이하”라면서 지난달 30일 열린북한방송이 량강도 혜산시의 주민과 나눈 통화내용을 공개했다.
이 녹취에서 혜산시 주민은 연평도 포격과 관련,“남조선이 먼저 쐈다고 생각한다”면서 “나 뿐아니라 다들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는 “당국의 통제로 선전·선동 목적의 내부 방송만 접할 수 있는 북한 주민들이 사건의 진상을 알기는 어렵다”면서 “북한 주민들에게 진실을 알리기 위해서는 대북방송을 보다 많은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들 매체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북한 간부와 주민에게 북한정권의 본질을 알려주고 개혁 개방과 평화의식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공영방송 외에도 민간 대북방송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지원을 호소했다.
연합뉴스
이들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북한의 연평도 포격 규탄과 민간 대북방송 활성화를 위한 민간 대북방송 4사(社) 공동 기자회견’에서 “여러 대북 매체들이 내부 통신원의 전언을 종합해 본 결과,대다수 북한 주민들은 조선중앙방송(대내용 라디오방송)이나 제3방송(각 가정에 스피커로 전달되는 일종의 유선방송망) 등 내부 선전용 매체의 보도를 통해 연평도 포격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북한이 먼저 포를 쐈다는 사실을 아는 주민은 10% 이하”라면서 지난달 30일 열린북한방송이 량강도 혜산시의 주민과 나눈 통화내용을 공개했다.
이 녹취에서 혜산시 주민은 연평도 포격과 관련,“남조선이 먼저 쐈다고 생각한다”면서 “나 뿐아니라 다들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는 “당국의 통제로 선전·선동 목적의 내부 방송만 접할 수 있는 북한 주민들이 사건의 진상을 알기는 어렵다”면서 “북한 주민들에게 진실을 알리기 위해서는 대북방송을 보다 많은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들 매체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북한 간부와 주민에게 북한정권의 본질을 알려주고 개혁 개방과 평화의식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공영방송 외에도 민간 대북방송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지원을 호소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