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지도자 사후 미라 보존 왜 많은가

사회주의 지도자 사후 미라 보존 왜 많은가

입력 2011-12-22 00:00
수정 2011-12-22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후계 안정화가 목적 김정일 ‘10번째 미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은 아버지 김일성 주석처럼 미라 상태로 금수산기념궁전에 영구 보존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시신이 영구 보존되면 레닌, 스탈린, 마오쩌둥 등에 이어 사회주의 국가 지도자 중 10번째 미라가 된다. 이처럼 많은 사회주의 국가들이 지도자 시신을 영구 보존하는 것은 우상화를 통한 후계 체제의 권력 안정 목적 때문이다. 그만큼 전체주의 통제 체제의 권력 취약성을 반증하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레닌·마오쩌둥 유언불구 방부처리

시신이 영구 보존돼 있는 사회주의 국가 지도자들은 ▲레닌(구 소련) ▲디미트로프(불가리아) ▲스탈린(구 소련) ▲고트발트(구 체코슬로바키아) ▲호찌민(베트남) ▲네트(앙골라) ▲바남(가이아나) ▲마오쩌둥(중국) ▲김일성(북한) 등이다.

이들 모두가 자신의 시신을 미라로 만들어 달라고 한 것은 아니다. 레닌은 페테르부르크의 어머니 묘 옆에 묻어 달라고 유언했지만 스탈린 등 당시 공산당 지도부가 선전용으로 영구 보존을 택했고, 미라로 만들어 모스크바 붉은 광장 묘에 안치했다. 마오쩌둥도 화장 뒤 산골(散骨)하라고 유언했으나 방부 처리 후 베이징 톈안먼 광장의 기념관에 안치됐다.

본인의 유언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시신이 영구 보존되는 것은 레닌의 예에서처럼 정치적인 목적인 경우가 많다. 전임 지도자를 우상화하고 이를 통해 현 권력자의 권력을 보다 공고히 하려는 것이다.

북한도 마찬가지다. 김 주석의 시신을 미라로 만든 것에 대해 북한 전문가는 “김 주석의 영생을 뒷받침하고 김 위원장을 신의 아들로 우상화해 카리스마를 만들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아직 권력 기반이 확고하지 않은 김정은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도 김 위원장 시신을 미라로 보존해 권력 안정화를 위한 선전도구로 사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존시 100만弗·관리비 年80만弗

20일 공개된 김 위원장의 시신은 유리관 안에 인민복 차림으로 붉은빛 천이 둘러진 모습이었다. 시신 주위에는 김정일화(花)로 이름 붙은 붉은 꽃들로 채워졌다. 김 위원장 시신을 방부 처리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008년 김 위원장이 시신을 영구 보존토록 지시했다고, 한 일본 언론이 북한 사정에 밝은 인사의 말을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미뤄볼 때 이미 김 위원장 시신은 1차 부식 방지 작업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 위원장 시신 보존 작업은 앞서 레닌의 미라를 만들었던 러시아 연구진이 맡을 전망이다. 영구 보존 작업은 시신을 방부 처리한 뒤에도 1주일에 두 차례 정도 방부제를 얼굴과 손 등 노출된 부위에 바르고 2~3년에 한 번씩은 시신을 발삼향액 수조에 한 달 정도 담가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구 보존하는 작업에 100만 달러 정도가 들고 그 뒤로 이를 관리하는 데에도 연간 80만 달러 정도씩 들어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12-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