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 선전과 권위 유지 위해 밥먹듯이 ‘뽀샵질’…황당한 사진들
탈북자 인터넷 매체인 ‘뉴포커스’(www.newfocus.co.kr)가 22일 북한이 체제 선전 등을 위해 실제와는 다르게 손질한, 소위 ‘뽀샵질’을 한 사진을 여러 장 공개해 화제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94059.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94059.jpg)
이 매체는 생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자신의 단점을 감추기 위해 포토샵을 애용했다고 주장하며 같은 장소에서 촬영된 사진 두 장을 공개했다.
이 사진을 살펴보면 왼쪽 사진 김정일이 훨씬 나이 들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뉴포커스는 ”왼쪽이 실제 모습, 오른쪽이 포토샵 뒤 모습”이라며 ”얼핏 보면 수정했다고 생각조차 못할 정도로 정교하게 피부를 다듬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뉴포커스는 포토샵 대상이 김정일이 아닌 사진들은 그다지 정교하게 수정되지 않는 것 같다며 다른 사진들을 덧붙였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4005.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4005.jpg)
뉴포커스에 따르면 위 사진은 북한의 ‘선전화보집’에 나온 해수욕장 사진이다. 바다 속에서 수영하는 사람들의 모습과 형태에서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12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128.jpg)
’선전화보집’에 실린 또 다른 사진에서는 양의 숫자가 많아 보이게 하기 위해 덧댄 흔적이 역력하다. 이곳 저곳에서 같은 모습의 양이 부지기수로 눈에 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210.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210.jpg)
단빵 생산이라는 제목의 사진에서는 빵이 쌓여 있는 선반에 같은 모양과 배열이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41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41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45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452.jpg)
김일성, 김정일이 등장하지만 합성임이 확실한 사진도 있다. ‘로동신문’에 실린 이 사진에서 구두를 보면 빛의 방향과 그림자 방향이 일치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김일성이 착용한 선그라스에 반사된 물체가 있는 점을 미뤄 실제 김일성 앞에는 건축물로 추정되는 큰 물체가 있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520.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520.jpg)
조선중앙통신과 로동신문에 실렸던 이 사진은 왼쪽 상단이 컴퓨터 작업이 아닌 수작업으로 덧칠됐다. 뉴포커스는 덧칠된 부분에 얼굴 형태가 보이는 점으로 미뤄 사진 촬영 이후 숙청 당했거나, 탈북한 인물의 모습이 지워진 것으로 추측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549.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549.jpg)
이 사진에서도 왼쪽 사진에서 도드라져 보이는 여성의 다리가 오른쪽 사진에서는 감춰진 점을 확인 할 수 있다. 뉴포커스는 ”김정일 뒤에서 짝다리를 짚고 있는 여성도 굉장히 용감한 듯 싶다.”면서 “북한은 의도적으로 여성의 다리를 감추기 위해 사진을 자르고 포토샵을 이용해 일부 수정했지만, 그마저도 흔적을 남기고 말았다.”고 평가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659.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4/22/SSI_20120422173659.jpg)
뉴포커스는 마지막으로 지난해 여름 대동강 수해 때 국제적으로 조작 논란을 불러 일으킨 사진을 소개했다. 이 사진을 자세히 보면 허벅지까지 물이 차올랐는데 물 위로 드러난 주민들 바지 부분이 깔끔하고, 물결도 부자연스럽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사진은 조선중앙통신이 AP통신에 전송한 세계로 전파된 사진인데, AP는 회원사들에게 이 사진이 조작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사진을 삭제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당시 이 사진과 관련해 북한이 국제 사회 지원을 노리고 수해 상황을 과장했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