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벌로 인한 산림 황폐화 등 지적… 지도력 보완·민심 결집 ‘두 토끼 잡기’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정책 실패와 같은 치부를 적극적으로 공개하며 시정을 요구하는 방식의 통치에 나서고 있다.![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3/01/SSI_20150301180425_O2.jpg)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3/01/SSI_20150301180425.jpg)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김 제1위원장은 지난달 26일 ‘식수절’(3월 2일)을 앞두고 발표한 담화에서 만성적 산림 황폐화 문제를 지적하며 벌목에 대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문제 삼을 것을 주문했다. 김 제1위원장은 담화에서 “고난의 행군 시기부터 사람들이 식량과 땔감을 해결한다고 하면서 나무를 망탕(마구) 찍은 데다 산불방지 대책도 바로 세우지 못해 나라의 귀중한 산림 자원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산림정책 실패를 자인했다.
북한이 조선중앙통신이나 노동신문 등 매체를 통해 김 제1위원장의 질책을 공개한 것은 처음은 아니다. 김 제1위원장은 집권 첫해인 2012년 5월 평양 만경대유희장의 인도에 난 잡초를 직접 뽑으며 관리 부실을 나무랐다. 이듬해 6월에는 기계공장 혁명사적관 건설 상황에 대해 “한심하다”고 혹평하며 관계자를 질책했다. 지난해 5월엔 평양에서 23층 아파트 붕괴 사고로 대형 인명피해가 났을 때는 이례적으로 사고 발생 닷새 만에 노동신문을 통해 사고 발생 및 인명피해 소식을 전했다. 북한이 이처럼 지도자의 입을 통해 직접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국민에게 당이나 군 관료의 잘못을 공개하는 일은 김일성 주석은 물론 김정일 국방위원장 통치 체제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모습이다.
김 제1위원장의 이런 통치 스타일은 선대와의 차별화를 통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도력을 보완하려는 것과 동시에 민심을 결집하기 위한 전략이란 지적이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 연구원은 “김 제1위원장이 이른 나이에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는 점에서 기존 구태를 반복하는 관료를 질책해 리더십을 부각하면서 주민을 위해 헌신한다는 점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5-03-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