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22일 차관회의를 통과한 검·경 수사권 조정 대통령령에 대해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경찰청은 이날 오후 정부중앙청사에서 진행된 차관회의에서 국무총리실이 앞서 내놓은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이 원안대로 통과된 데 대해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매우 유감스러운 내용으로 경찰 모두가 실망과 좌절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경찰은 차관회의를 통과한 안은 국회가 검찰의 권력 분산과 견제 차원에서 60여 년 만에 개정한 형사소송법과 검찰청법에서 나타난 입법적 결단에 전면 배치되는 것으로 각 정당의 수정 요구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안이라고 지적했다.
경찰은 차관회의를 통과한 안이 경찰의 내사에 대한 검사의 개입을 정당화시켜 ‘내사는 수사 지휘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지난 6월20일 자 정부 합의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며 국가기관 간 신뢰도마저 떨어뜨렸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27일 예정된 국무회의에서는 정부기관 간 합의정신과 국회의 입법적 결단의 취지와 내용을 살려 입건지휘, 수사중단·송치지휘 및 내사와 관련한 규정을 삭제하기를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경찰청은 이날 오후 정부중앙청사에서 진행된 차관회의에서 국무총리실이 앞서 내놓은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이 원안대로 통과된 데 대해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매우 유감스러운 내용으로 경찰 모두가 실망과 좌절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경찰은 차관회의를 통과한 안은 국회가 검찰의 권력 분산과 견제 차원에서 60여 년 만에 개정한 형사소송법과 검찰청법에서 나타난 입법적 결단에 전면 배치되는 것으로 각 정당의 수정 요구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안이라고 지적했다.
경찰은 차관회의를 통과한 안이 경찰의 내사에 대한 검사의 개입을 정당화시켜 ‘내사는 수사 지휘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지난 6월20일 자 정부 합의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며 국가기관 간 신뢰도마저 떨어뜨렸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27일 예정된 국무회의에서는 정부기관 간 합의정신과 국회의 입법적 결단의 취지와 내용을 살려 입건지휘, 수사중단·송치지휘 및 내사와 관련한 규정을 삭제하기를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