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방문 귀찮아” 직업 체험에 소극적
시민단체인 용산연대 사무처장 오장록(35)씨는 지난 두 달간 학생들의 직업체험을 도와줄 일터를 섭외하기 위해 용산구 곳곳을 뛰어다녔다. 직업체험이라는 개념이 아직 생소한 데다 학생들의 방문을 꺼리거나 귀찮게 여기는 곳이 많아서다. 대기업 2곳에도 협조를 요청했지만 소식이 없다. 결국 용산중 학부모들의 도움을 받아 신문사·구청·음식점 등 70여곳을 섭외했다. 오 사무처장은 “학교와 시민단체의 섭외력도 중요하지만, 기업들의 인식 개선과 참여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2/SSI_20120712175956.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2/SSI_20120712175956.jpg)
시교육청은 현재 시범운영 중인 중학생 직업체험을 내년 80개교, 2014년까지 200개교 이상으로 전면 시행할 계획이지만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보장되지 않아 고민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직업체험이 보편화돼 있는 선진국과 달리 긍정적인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 않아 기업의 일터 개방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면서 “일터를 개방하는 직장에 교육기부 명패를 만들어 부착하는 등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07-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