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해서 좋아” 맥주 149병 “독한 건 싫어” 소주 63병

“순해서 좋아” 맥주 149병 “독한 건 싫어” 소주 63병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12-28 00:02
수정 2015-12-28 0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술 1년에 1인당 얼마나 마시나

폭음을 꺼리고 낮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맥주 소비는 늘고 소주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소주병 용량(360㎖) 기준으로 2013년 1인당 연간 주류 소비량은 맥주가 148.7병으로 가장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소주 62.5병, 전통주 33병, 양주 2.7병, 와인 2.2병 순서였다.

1인당 소비량을 2010년과 비교하면 맥주는 139.8병에서 8.9병 늘었지만 소주는 66.4병에서 3.9병 감소했다. 농식품부 측은 “과다한 음주를 지양하고 부담 없이 술을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소주 같은 높은 도수의 술 소비가 줄고 맥주와 같은 낮은 도수의 술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여성을 중심으로 저도주를 선호하는 소비층이 넓어지고 있다. 도수를 낮추고 과일향과 탄산, 소다수 등을 첨가한 주류와 무알코올 맥주가 잇따라 출시됐다.

주류 구매 경험이 있는 20∼50대 소비자 500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주류 중에서 맥주를 선호하는 비율이 48.8%로 소주(35.6%)를 앞섰다. 수입 맥주가 증가하고 있는 점도 맥주 소비량을 끌어올린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맥주 수입량은 2009년 4만 1092t에서 2014년 11만 9501t으로 288% 증가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2-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