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차이나타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180856_O2.jpg)
![호주의 차이나타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180856.jpg)
호주의 차이나타운.
현재 강원 춘천과 홍천 일대에는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한중문화타운 조성이 진행 중이다.
인천 차이나타운 10배 규모…최근 명칭 바뀌어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중국 인민망스튜디오에서 강원 춘천 일대에 조성될 한중문화타운과 관련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인민망 동영상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180953_O2.png)
인민망 동영상 캡처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중국 인민망스튜디오에서 강원 춘천 일대에 조성될 한중문화타운과 관련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인민망 동영상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180953.png)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중국 인민망스튜디오에서 강원 춘천 일대에 조성될 한중문화타운과 관련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인민망 동영상 캡처
인민망 동영상 캡처
2018년 강원도가 한 민간기업과 업무협약을 맺었을 당시 이 사업의 명칭은 ‘중국복합문화타운’이었다. 한중문화타운으로 명칭이 바뀐 것은 지난 12일이다.
당시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한중 양국 문화가 융화되는 교류 장소로 세계인의 관심을 끌 것”이라며 “한중 수교 30주년이자 베이징올림픽이 열리는 2022년 준공돼 한중 문화교류 증진과 도 관광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중국의 동북공정에 이어 한복과 김치 등 한국의 전통문화를 중국의 문화라 우기며 한중 간 문화 갈등이 커지면서 이 사업에 대한 반발도 커지고 있다.
국민청원, 하루만에 14만명 넘게 동의
![강원도 춘천에 조성되는 ‘한중문화타운’ 반대 청원. 청와대 국민청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181125_O2.jpg)
청와대 국민청원
![강원도 춘천에 조성되는 ‘한중문화타운’ 반대 청원. 청와대 국민청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181125.jpg)
강원도 춘천에 조성되는 ‘한중문화타운’ 반대 청원.
청와대 국민청원
청와대 국민청원
청원인은 “춘천에 건설 중인 중국문화타운이 착공 속도를 높인다는 소식을 접했다”며 “중국의 동북공정에 우리 문화를 잃게 될까 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도내 차이나타운의 건설을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얼마 전 중국 소속사의 작가가 잘못된 이야기로 한국의 역사를 왜곡해 많은 박탈감과 큰 분노를 샀다”며 “계속해서 김치, 한복, 갓 등 우리 고유의 문화를 ‘약탈’하려는 중국에 이제는 맞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런데도 왜 대한민국에 작은 중국을 만들고, 우리나라 땅에서 중국의 문화체험 빌미를 제공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고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호텔 건설도 반대한다”는 의견을 냈다.
아울러 춘천 하중도에 건설 중인 레고랜드 테마파크와 관련해 청원인은 “중도는 엄청난 선사 유물·유구가 출토된 세계 최대 규모의 선사유적지”라며 “일부의 반대에도 건설을 추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강원도 “행정지원 하고 있을 뿐…도 예산 투입 없다”이에 강원도가 악화된 여론 달래기에 나섰다.
강원도는 한중문화타운이 테마형 관광지일 뿐 중국인 등의 집단거주 목적 시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또 한중문화와 IT 신기술이 접목도니 사업에 강원도는 순조로운 사업 추진을 위해 인허가 등의 행정지원을 하고 있을 뿐 도 예산 투입은 없다고 강조했다.
또 사업 초기 시행한 문화재 지표조사에서는 고고·역사 분야의 유적은 확인되지 않아 사업 추진에 문화재 관련 이슈는 없다고 도는 설명했다.
강원도 관계자는 “코로나19 글로벌 경제 위기로 사업이 다소 주춤하고 있으나 해당 사업이 지역 경제 견인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