끓여도 부활하는 식중독균…식약처 ‘퍼프린젠스’ 주의보

끓여도 부활하는 식중독균…식약처 ‘퍼프린젠스’ 주의보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03-22 11:31
수정 2023-03-22 1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퍼프린젠스 식중독균은 아미노산이 풍부한 육류에서 잘 자라며, 가열하고 실온에 오래 방치했을 때 증식한다. 서울신문 DB
퍼프린젠스 식중독균은 아미노산이 풍부한 육류에서 잘 자라며, 가열하고 실온에 오래 방치했을 때 증식한다. 서울신문 DB
집에서 장조림을 한솥 끓이고 실온에 방치했다면 이미 식중독균이 증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다른 식중독균과 달리 충분히 끓인 음식에서도 증식하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이하 퍼프린젠스)’라는 균이 있다며 봄철 식중독 주의를 당부했다.

퍼프린젠스는 가열 등으로 생육 조건이 나빠지면 열에 강한 아포를 만든다. 가열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아포형태로 휴면상태를 유지하다가 60도 이하로 내려가 다시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증식한다.

특히 이 균은 산소를 싫어하고 아미노산이 풍부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갈비찜 등을 대량 조리하고 실온에 방치했을 때 조리용 솥 내부에서 증식한다.

지난해에는 지역 축제에 다녀온 주민 400여명이 축제 전날 대량으로 조리하고 실온에서 식혀 다음 날 제공된 장조림을 먹고 집단 식중독 증상을 호소했다. 2021년에는 공사현장 노동자 90여명이 닭볶음탕을 먹고 식중독에 걸린 적이 있었는데, 이들이 먹은 닭볶음탕도 새벽에 조리해 점심 때까지 실온에 방치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모두 퍼프린젠스 식중독균이 원인이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최근 5년(2018~2022년)간 총 54건, 환자 2609명이 발생했고, 봄철인 3~5월에 20건(37%)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닭, 돼지고기 등 육류 조리식품 섭취로 인한 게 12건(867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시락 등 복합조리식품이 9건(525명), 곡류 섭취로 발생한 것이 2건(31명)이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음식 조리·보관만 잘 해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육류 등은 중심 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조리하고 여러 개의 용기에 담아 5도 이하에서 보관한다. 조리된 음식은 되도록 2시간 내에 먹고, 보관된 음식은 다시 75도 이상에서 재가열해 섭취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