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 승강장 틈 발빠짐 사고 5년간 327건

지하철역 승강장 틈 발빠짐 사고 5년간 327건

입력 2015-02-22 10:27
수정 2015-02-22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대문역사문화공원·서면·신촌역 많아서울메트로 역사 83% 승강장-열차 틈 10㎝ 초과

지하철역에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새누리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2014년 5년간 전국에서 일어난 발빠짐 사고는 총 327건으로 연평균 65건에 이른다.

연도별로는 2010년 41건, 2011년 69건, 2012년 67건, 2013년 82건, 2014년 68건으로 2010년을 제외하면 해마다 60건 넘게 일어나고 있다.

2012년 10월 서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는 6세 어린이가 승강장 틈새로 떨어져 머리를 다치는 사고가 있었다. 이듬해에는 같은 역에서 하차하던 한 여성이 다른 승객에게 떠밀려 틈새에 발이 빠지는 바람에 다리가 부러지기도 했다.

사고 통계에 잡히지는 않았지만 휠체어가 열차와 승강장 틈새에 끼이는 등 장애인의 불편 사례도 숱한 것으로 알려졌다.

승강장 발빠짐 사고는 특히 신체가 틈새에 빠진 상태에서 열차가 출발할 때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실족 사고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42건)이 가장 많았고 부산 서면역(28건)과 서울 신촌역(22건)이 그다음이었다. 이밖에 서울 충무로역(16건)과 부산 연산역(14건), 서울 압구정역(13건), 성신대입구역(12건) 등도 뒤를 이었다.

승강장이 곡선으로 설계돼 승강장이 휘어진 정도에 따라 승강장과 전동차의 간격이 넓어지는 역들이 많은데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간격이 최고 18㎝다. 곡선주로 형태 때문에 승강장과 전동차가 최고 25㎝ 떨어진 역도 있다.

운영기관별로는 서울메트로(1∼4호선)가 261건으로 전체 사고의 약 80%를 차지했으며 부산교통공사가 53건(16%)으로 2위였다. 나머지는 대전도시철도공사(7건)와 코레일(6건)이었다.

철도시설의 기술기준과 도시철도건설규칙에 따르면 열차와 승강장의 간격이 10㎝가 넘는 곳에는 승객의 실족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발판 등의 설비를 설치하게 돼 있다.

발빠짐 사고가 가장 많은 서울메트로는 120개 역 가운데 간격이 10㎝를 초과하는 역은 99곳(83%)에 이른다.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은 곡선구간 승강장을 중심으로 고무 안전발판이 설치되기도 했지만 사고는 계속되고 있다.

실제 2009년 5월 1일 신도림역에서는 승객이 밟은 안전발판이 아래로 내려가 발이 열차와 승강장 사이로 빠지기도 했다.

틈을 완전히 메울 수 있는 접이식 자동안전발판이 설치된 역은 몇 군데 없다.

이노근 의원은 “승강장과 열차 간 적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보완하고 안전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