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성연대’ 배인규, 라방서 호소
“감정 자극한 경찰 대응 탓” 주장도
전문가 “군중심리 쉽게 발현” 우려
7층 판사실 침입한 40대 구속영장
침입 자수 2명 등 총 3명 추가 입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이 열린 2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윤 대통령이 탄 법무부 호송 차량이 지지자들의 환호를 받으며 헌법재판소로 출발하고 있다.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1/SSC_20250121181828_O2.jpg.webp)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이 열린 2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윤 대통령이 탄 법무부 호송 차량이 지지자들의 환호를 받으며 헌법재판소로 출발하고 있다.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1/SSC_20250121181828_O2.jpg.webp)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이 열린 2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윤 대통령이 탄 법무부 호송 차량이 지지자들의 환호를 받으며 헌법재판소로 출발하고 있다.
뉴스1
뉴스1
한남동 집회부터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태의 중심에 20~30대 남성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페미니즘 반대를 표방하는 유튜브 채널 ‘신남성연대’ 운영자가 서부지법 폭동 사태 당시 현장을 촬영한 유튜버들에게 영상 삭제를 호소하고 나섰다. 수사기관이 해당 영상을 근거로 추적에 나설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찰은 폐쇄회로(CC)TV, 채증자료, 유튜브 등을 분석해 서부지법 7층 판사실 출입문을 부수고 내부로 침입한 40대 남성을 긴급체포해 21일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배인규 신남성연대 대표는 이날 ‘배인규 대표 구속위기?!’라는 제목의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언론을 정화해야 한다. 전 아마 구속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배 대표는 지난 19일 ‘[긴급]서부지법 유튜버들은 시민들 얼굴이 촬영된 영상을 내려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라이브 방송을 통해 “조회수도 좋지만 그거(법원) 촬영했던 유튜버들 시민들 생각해서라도 다 내려야 한다. 그분들이 다 잡혀간다”고 말한 바 있다.
![배인규 신남성연대 대표가 지난 19일 유튜브 방송을 통해 “(서울)서부지법 유튜버들은 시민들 얼굴이 촬영된 영상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신남성연대 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1/SSC_20250121181851_O2.jpg.webp)
신남성연대 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
![배인규 신남성연대 대표가 지난 19일 유튜브 방송을 통해 “(서울)서부지법 유튜버들은 시민들 얼굴이 촬영된 영상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신남성연대 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1/SSC_20250121181851_O2.jpg.webp)
배인규 신남성연대 대표가 지난 19일 유튜브 방송을 통해 “(서울)서부지법 유튜버들은 시민들 얼굴이 촬영된 영상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신남성연대 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
신남성연대 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
배 대표는 신남성연대 채널 게시판을 통해 “경찰 대응은 도를 넘은 폭력성과 비윤리적 행위로 인해 시위자들의 감정을 극도로 자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유튜브 분석 사이트 ‘블링’에 따르면 구독자가 79만여명인 이 채널은 전체 구독자 중 만 44세 이하 비율이 72%에 달한다.
이에 20~30대 남성들을 서부지법 등으로 모이도록 하고, 폭력성을 표출토록 만든 배경 중 하나가 유튜브와 남초 온라인 커뮤니티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부지법 폭동 사태로 많은 사람이 체포된 후에도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와 디시인사이드 관련 갤러리 등에는 “2030은 초범이라 벌금 물고 풀려난다”와 같은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확증편향이 강한 유튜브 알고리즘이나 폐쇄형 커뮤니티 등을 통해 군중심리가 쉽게 발현된다”고 우려했다.
검찰은 서부지법에 침입한 46명과 경찰관 폭행 등의 혐의를 받는 17명을 합친 63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경찰이 구속영장을 신청한 66명 중 3명에 대해선 수사에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영장을 반려했다.
경찰은 7층 판사실에 침입한 40대 남성 외에도 서부지법 침입을 자수한 2명 등 모두 3명을 추가로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휴대전화, 채증영상, 현장감식 등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불법행위자를 끝까지 찾아내겠다”고 말했다.
2025-01-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