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내 독도…역사교육의 장으로 눈길

캠퍼스 내 독도…역사교육의 장으로 눈길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4-10-25 10:56
수정 2024-10-25 1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명대 독도조형물 ‘땅 위 독도’
독도 경비대 숙소부터 등대까지 재현
이미지 확대
상명대 학생이 캠퍼스 내 설치된 독도 조형물을 관람하고 있다. 이종익 기자
상명대 학생이 캠퍼스 내 설치된 독도 조형물을 관람하고 있다. 이종익 기자


상명대학교(총장 홍성태)가 천안캠퍼스 내 실제 모습을 75분의 1로 축소해 재현한 독도 조형물이 역사교육의 장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상명대에 따르면 학생과 지역민 등에게 영토수호와 역사의식을 높이기 위해 2013년 4월 천안캠퍼스 내 땅 위에서 볼 수 있는 독도 조형물을 설치했다.

일본은 2011년 3월 문부성 검정을 통과한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는 내용을 담았었다.

그 해 5개월 후 8월 2일에 발표한 일본 방위백서에는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하고 독도를 자국의 영토로 주장했었다.

상명대는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수년째 펼친 독도 영유권 관련 여론전으로 역사 왜곡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땅 위에서 볼 수 있는 독도 조형물을 설치했다.

이미지 확대
상명대 학생이 캠퍼스 내 설치된 독도 조형물을 관람하고 있다
상명대 학생이 캠퍼스 내 설치된 독도 조형물을 관람하고 있다


독도 조형물은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천안캠퍼스 글로벌인문학부대학과 학생회관 사이 연못 광장에 조성됐다.

파란색 바닥에 물을 담은 대형 연못 광장 위에 설치된 독도 조형물은 바다 위 독도 모습 그대로다. 독도를 지키는 경비대 숙소에서부터 태양광 발전소, 등대, 괭이갈매기 서식지, 몽돌(자갈) 해안까지 섬세하게 재현했다.

조형물 주변에는 휴시공간과 함께 독도가 한국영토임을 증명하는 각종 문헌과 지도 안내판도 설치돼 있다.

상명대는 천안캠퍼스 내 약 150개 정도의 크고 작은 태극기도 게시했다. 봄과 가을이면 지역 내 어린이집과 유치원 원아들의 단골 교육 장소다.

홍성태 총장은 “독도 조형물뿐 아니라 자세한 독도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상명대 땅 위의 독도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우리나라 영토 수호의 의지를 다지고 애국선열의 뜻을 기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를 비롯해 89개의 바위섬과 암초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며 면적은 0.188㎢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독도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돼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