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점보다 격차 줄었지만
통합 수능 도입 이후 격차 계속
올해 미적분 응시자 절반 넘어
“교차지원의 유리함 줄어들 것”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6일 대구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능 성적표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8/SSC_20241208154147_O2.jpg.webp)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6일 대구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능 성적표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8/SSC_20241208154147_O2.jpg.webp)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6일 대구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능 성적표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고득점을 받기 위해 수학영역 선택과목 중 미적분을 택하는 쏠림현상이 여전한 가운데 올해 수능에서도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이 확률과 통계보다 5점 높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 중 절반 이상이 수학 선택과목으로 미적분을 택했다. 미적분을 선택한 응시자는 22만 7232명으로 전체 수학영역 응시인원의 51.3%를 차지했다. 확률과 통계가 20만 2266명으로 45.6%였고, 기하는 1만 3735명으로 3.1%에 그쳤다.
미적분을 선택한 응시자 비율은 2022학년도 39.7%에서 2023학년도 45.4%, 2024학년도 51.0%, 2025학년도 51.3%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확률과 통계 응시자 비율은 2023학년도 48.2%에서 올해 45.6%로 2.6%포인트 떨어졌고, 기하는 같은 기간 6.4%에서 3.1%로 하락했다.
수험생이 미적분을 많이 택하는 이유는 표준점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보여주는 점수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하고 시험이 쉬우면 하락한다.
이런 격차로 의대나 자연계 상위권 학과를 노리는 수험생뿐 아니라 중위권 학생도 미적분을 택하며 과반의 응시자가 미적분에 몰리는 쏠림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보인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이 도입된 이후 같은 원점수를 받아도 상대적으로 어려운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 표준점수)이 높은 현상이 계속 이어졌다.
2025학년도 수능에서도 이런 격차는 계속됐다. 종로학원은 올해 수능에서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미적분 140점, 확률과 통계 135점으로 5점 차가 날 것으로 분석했다. 미적분에서 두 문제 정도 틀려도 확률과 통계 만점과 표준점수 최고점은 비슷한 셈이다. 국어는 언어와 매체 139점, 화법과 작문 136점으로 분석됐다.
다만 지난해 11점이나 벌어졌던 미적분(148점)과 확률과 통계(137점)의 격차는 올해 줄어들었다. 종로학원은 “수학 과목에서 점수차가 줄어들어 지난해보다 이과에서 문과 교차지원을 통한 유리함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적분은 보통 자연계생이, 확률과 통계는 인문계생이 많이 선택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