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펜트린은 사용금지 약물 아니지만 발암물질”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이 나오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피프로닐은 다량 섭취하면 장기가 손상될 수 있는 독성 물질이다.
달걀 자료사진 연합뉴스
15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경기 남양주 농가에서 검출된 피프로닐은 개나 고양이의 벼룩·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살충제 성분이다. 동물용의약외품 관련 법에 따라 닭에는 사용이 금지돼 있다.
국내 농가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사용 자체가 금지돼 있어서 식품 안전 규정 등을 담은 국내 식품공전에는 별도의 피프로닐 검출 기준치가 설정돼 있지 않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피프로닐을 다량 섭취할 경우 간장, 신장 등 장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 광주 농가에서 검출된 ‘비펜트린’은 진드기 퇴치용 농약의 일종이다. 피프로닐과 다르게 사용 자체가 금지돼 있지는 않지만 미국환경보호청(EPA)이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이 나오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피프로닐은 다량 섭취하면 장기가 손상될 수 있는 독성 물질이다.
![달걀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23/SSI_20170123095006_O2.jpg)
![달걀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23/SSI_20170123095006.jpg)
달걀 자료사진
연합뉴스
국내 농가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사용 자체가 금지돼 있어서 식품 안전 규정 등을 담은 국내 식품공전에는 별도의 피프로닐 검출 기준치가 설정돼 있지 않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피프로닐을 다량 섭취할 경우 간장, 신장 등 장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 광주 농가에서 검출된 ‘비펜트린’은 진드기 퇴치용 농약의 일종이다. 피프로닐과 다르게 사용 자체가 금지돼 있지는 않지만 미국환경보호청(EPA)이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