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휠체어컬링 노르웨이에 덜미… 4강 진출 빨간불
‘장애인 스포츠의 전설’ 브라이언 매키버(31·캐나다)가 비장애인올림픽 출전이 좌절된 설움을 금메달로 보상받았다.![포기하지마… 여기 희망이 있잖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3/16/SSI_20100316222642.jpg)
밴쿠버 AP 특약 연합뉴스
![포기하지마… 여기 희망이 있잖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3/16/SSI_20100316222642.jpg)
포기하지마… 여기 희망이 있잖아!
임학수(왼쪽 첫번째)와 캐나다의 브라이언 매키버(세번째)가 16일 캐나다 휘슬러 패럴림픽 파크에서 열린 밴쿠버 장애인동계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시각장애 20㎞ 프리에서 눈 위를 역주하고 있다. 임학수는 57분03초8로 9위에 올랐다. 비장애인 대회인 밴쿠버 동계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지만 출전이 좌절된 매키버는 51분14초17로 결승선을 통과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같은 장소에서 열린 크로스컨트리 남자 입식 20㎞ 프리에서 7위를 차지한 두 팔이 없는 중국의 두하이타오(가운데)가 신중하게 눈 위를 타고 있다.
밴쿠버 AP 특약 연합뉴스
밴쿠버 AP 특약 연합뉴스
매키버는 “올림픽 출전 좌절로 화가 아직도 덜 가라앉았지만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간격을 좁힐 수 있었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싶다.”고 의미 있는 한 마디를 남겼다. 그는 또 “이렇게 많은 관심을 받으면 패럴림픽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면서 “러시아에는 가 보지 못했는데 2014년 소치대회에도 도전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주니어 당시 매키버는 기대주였지만 유전병인 스타르가르트 증후군이 19세에 발병해 시력을 잃어갔고, 현재 10% 정도의 시력만 남아 있는 상태다. 시력 감퇴를 겪으며 패럴림픽에 출전하기 시작했지만 비장애인 엘리트 선수생활도 포기하지 않았다. 패럴림픽에서는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에서 크로스컨트리 10㎞와 5㎞에서 정상에 올랐고, 4년 뒤 토리노대회에서도 같은 두 종목에서 우승하는 등 패럴림픽에서 7차례나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매키버는 지난해 12월 캐나다에서 열린 남자 50㎞ 크로스컨트리에서 우승, 마침내 밴쿠버(비장애인)올림픽 출전권을 따내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캐나다 대표팀은 더 나은 성적을 거둘 선수들이 있다면서 50㎞ 크로스컨트리 출전명단에서 그를 제외시켰다. 매키버 대신 출전한 선수들은 한동안 ‘사이버 테러’에 시달리기도 했다.
한편 한국은 밴쿠버패럴림픽센터에서 열린 휠체어컬링 예선 풀리그 4차전에서 영국을 7-5로 따돌렸지만 이어 벌어진 노르웨이와의 5차전에서 아쉽게 6-9로 패했다. 한국은 한 수 아래로 여겼던 상대에 일격을 당해 연승행진이 3경기에서 멈췄다.
중간 전적 3승2패로 미국과 캐나다(4승1패)에 이어 3위. 한국은 일본과 이탈리아, 스위스(이상 2승2패) 등 4위권에 반 경기차로 앞섰기 때문에 조 4위까지 주어지는 토너먼트 진출에 부담을 안게 됐다. ‘메달 기대주’ 한상민(31·하이원)은 17일 알파인 스키 경기에서 대회 첫 메달이자 한국의 동계패럴림픽 두 번째 메달에 도전한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0-03-17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