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 북한 베이징올림픽 참가금지 안팎
靑관계자 “다른 방안 계속 찾아볼 것”개인 출전은 희박… 바흐 중재 가능성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악수하는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동생 김여정.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2/12/SSI_20180212022211_O2.jpg)
연합뉴스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악수하는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동생 김여정.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2/12/SSI_20180212022211.jpg)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악수하는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동생 김여정.
연합뉴스
연합뉴스
IOC는 9일 보도자료를 통해 “북한 NOC가 2020 도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 기여하지 않은 점을 고려한 결정”이라며 “우리는 북한 NOC와 협의를 통해 (코로나19 등에) 안전하다는 사실을 재확인했고 백신 제공 등 적절한 해결책도 제안했지만, 북한 NOC는 도쿄올림픽에 불참한 유일한 NOC가 됐다”고 제재 이유를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2018년 4월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을 보좌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7/11/SSI_20200711111833_O2.jpg)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2018년 4월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을 보좌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7/11/SSI_20200711111833.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2018년 4월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을 보좌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오는 14일 한국을 공식 방문하는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장관)과도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 확실시됐다. 올림픽을 여는 중국은 북한의 최우방이다. 청와대가 왕 국무위원을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남북 협력 메시지를 전달하면 김 위원장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내년 초 베이징을 찾아야 한다는 시나리오의 전제가 깨지면서 ‘평창 어게인’은 매우 힘들어졌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부는 남북 정상이 합의한 바와 같이 베이징동계올림픽 등 다양한 계기를 통해서 남북한 스포츠 교류, 한반도 평화를 진전시킬 방안을 계속 찾아보고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IOC 징계로 올림픽을 매개로 한 남북대화 진전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질문을 받고 “IOC가 회원국인 북한에 대한 조처를 한 것으로, 정부 차원에서 논평할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이렇게 말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란 관측도 있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북한 선수들이 개인 자격으로 베이징동계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놨다. 국가적 자존심을 중시하는 북한에서 이런 굴욕을 참아 가며 선수들을 내보낼 가능성은 크지 않다. 다만 바흐 위원장은 평창동계올림픽 때 남북미 대화의 물꼬를 튼 주역이다. 북한이 그의 중재를 받아들여 상징적 수준의 선수를 출전시키고 이들을 이끌 고위급 인사를 베이징으로 보내 ‘메신저’ 역할을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2021-09-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